▲구조물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의 모습.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올해 태양광 보급량이 지난해보다 9.0%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빠르게 성장해온 태양광 시장이 지난해 정점을 지나 성숙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새 정부에서는 태양광에 우호적인 정책환경의 변화도 예상돼 과거처럼 큰 폭으로 설치량 증가는 없을 것으로 파악됐다.
21일 한국수출입은행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인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태양광 예상 설치량은 4.0GW로 지난해 4.4GW보다 9.0%(0.4GW)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태양광 보급량은 설비용량 4.4GW가 보급돼 지난해 대비 7.3% 증가한 바 있다. 지난 2018년에 태양광 보급량 2.0GW와 2019년 3GW를 넘어서면서 꾸준히 늘어온 보급량이 지난해를 정점으로 올해부터 태양광이 많이 늘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이 보고서에서 태양광 보급량이 더 이상 늘기 어렵다고 본 이유는 국내 태양광 설치단가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폴리실리콘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빠르게 오르면서 태양광 보급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올해 3월 기준 폴리실리콘 가격은 kg당 33.9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0.4달러에서 166% 상승했다. 여기에 국내에서 금리 인상은 태양광 개발을 위한 조달비용을 상승시켜 수익 악화 가능성도 올라갔다고 봤다.
게다가 새정부 출범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의 변경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탈원전 기조가 바뀔 것으로 예상되면서 태양광 중심에 우호적인 정책 환경이 변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태양광 보급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신재생에너지의무공급(RPS) 비율이 현행보다 낮아지는 방식으로 조정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RPS란 일정 규모의 발전사들이 발전량의 일부를 신재생에너지로 조달하도록 하는 제도다. 올해 RPS 의무비율은 12.5%로 발전사들은 발전량의 12.5%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워야 한다. RPS 의무비율은 △내년 14.5% △2024년 17.0% △2025년 20.5% △2026년 25.0% 등으로 지금까지 정해졌다.
보고서에서는 이처럼 국내 태양광 산업의 위축 가능성을 제시하며 미국 등 핵심 태양광 제품 수요국으로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 태양광 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 지원, 저렴한 전기요금을 통한 비용절감 및 풍부한 내수시장을 통해 성장하고 있어서 우리나라 기업도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