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대환대출·예금 비교' 플랫폼 나온다...은행권, 걱정하는 이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14 16:54

대환대출 플랫폼 50여개 금융사 참여

"예금 비교 플랫폼, 소비자 유인책 될 수 있어"



금융권 과당경쟁과 줄세우기는 우려

"중도상환수수료 논의대상…빅테크와 경쟁 안돼"

대출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은행, 저축은행, 카드·캐피탈사에서 대출을 받은 차주들이 쉽게 대출을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내년 5월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여러 금융사의 예·적금 상품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비교하고 추천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내년 2분기 이후 출시될 계획이다.

금융권의 상품 비교 플랫폼이 잇따라 나오면서 금융소비자들의 편익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금융사들은 과도한 경쟁이 발생할 수 있는 데다, 빅테크·핀테크 기업과의 플랫폼 경쟁이 심화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내년 5월 운영 개시를 목표로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은행, 저축은행, 카드·캐피탈사에서 대출을 받은 소비자가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지난해 빅테크·핀테크 기업이 플랫폼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추진됐다 은행 등 금융사 반발로 중단됐는데, 당시 은행들은 플랫폼 기업에 종속될 수 있고, 플랫폼 수수료 부담, 과당경쟁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감을 나타냈다. 그러다 올해 다시 논의가 시작됐고 금융위는 내년 5월(잠정)부터 운영을 시작하겠다는 구체적인 시점을 잡았다. 단 이번에는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에 참여한 50여개 금융사 앱에서 모두 대환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빅테크·핀테크 플랫폼에서만 대환대출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도록 보완책을 내놨다.

금융위는 "현재 대환대출 시장은 금융사 간 인프라 미비, 제한적인 대환대출 상품 공급 등으로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았다"며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으로 대환대출 시장을 활성화해 금융소비자 이자부담 경감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대환대출 플랫폼과 함께 온라인 예·적금 비교 서비스도 내년 상반기 이후 출시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 9일 뱅크샐러드, 핀크, 비바리퍼블리카, 네이버파이낸셜 등 핀테크 기업 8곳과 신한은행 등 금융사 1곳을 포함해 총 9개 기업의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했다. 여러 예·적금 상품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비교하고, 또 추천을 받아 금융소비자들이 원하는 조건의 예·적금 상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금융위는 지난 8월 제2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업 시범운영 방안을 발표했는데, 이번에 그 내용이 구체화됐다.

내년에 대환대출과 예·적금 비교 플랫폼이 잇따라 나오면서 금융소비자들의 편익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더 유리한 조건의 상품을 손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은행권에서는 잇단 비교 플랫폼이 나오면서 과도한 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예·적금 비교 플랫폼은 은행권에 미치는 파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대환대출은 다른 금융사의 대출 고객을 뺏어가는 구조인 만큼 과당경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예·적금은 고객 1명이 여러 상품에도 가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상품을 제공하면 고객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대출은 이와 달리 다른 금융사의 고객을 뺏어가는 구조라 은행들이 더욱 부담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환대출이 손쉽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은행권의 중도상환수수료도 논의 대상에 오르게 된다. 중도상환수수료가 높아 대환대출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이를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8월부터 예·적금 예대금리차 공시가 의무화된 이후 은행권에 줄세우기 문화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비교 플랫폼을 통해 이같은 분위기가 더욱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플랫폼 참여자를 50여개로 확대했지만 빅테크·핀테크 플랫폼으로의 종속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것도 아니란 의견도 있다. 실제 빅테크·핀테크 플랫폼 이용자 수가 월등히 많아 금융사들이 뒤쫓아가고 있는 상황이라 금융사들이 포용하지 못한 이용자들은 빅테크·핀테크 플랫폼을 이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은행들도 플랫폼 개발을 통한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 빅테크·핀테크 기업과 플랫폼 경쟁에서 승기를 잡지 못하고 있는 만큼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한다고 해도 이용자를 끌어올 수 있을 지 미지수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우 아직 세부적인 논의가 이뤄지지는 않았다"며 "내년 시행 전까지 진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