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우크라이나 재건(再建) 시장 진출을 위한 정부와 국내 기업들의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출처=픽사베이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K-건설’이 유럽지역에서 가장 많은 수주를 따낸 폴란드(누적 수주액 54억 달러)를 중심으로 유럽 중·동부 지역 최대 규모의 신공항 건설사업과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등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한-폴란드 정상회담에서 차관급 협의체 발족을 통해 한국, 폴란드, 우크라이나간 민관협력체제가 완성됨에 따라 민간 주도의 재건사업을 위한 전방위 지원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 정부, 폴란드 통한 우크라 사업 수주 지원
17일(우리시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와 관련업계는 최근 폴란드와 방산, 원자력, 플랜트 등 다양한 협력관계를 구축해오고 있다. 특히 한국 기업은 폴란드를 중·동부 유럽 시장 진출과 우크라이나 재건참여의 전초기지로 삼으면서 관련 협약을 체결 중에 있다.
이와 관련 앞서 정부는 지난 2021년 동유럽 최대 복합 운송 허브로 키우기 위한 폴란드 신공항 개발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또한 올해 3월에는 어명소 전 국토부 차관이 폴란드 신공항사업을 추진할 시 지능형 교통체계(ITS)와 대중교통 분야 등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 5월에는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해 폴란드를 방문해 한국 기업의 재건사업 참여를 위한 여건을 마련했다.
최근에는 국토부가 폴란드 인프라부와 △폴란드 및 중·동유럽지역 교통 인프라 개발 △항공을 포함한 교통 분야의 양국간 협력 강화 △중·동유럽의 동-서 및 남-북 교통축 개발에 대해 협력키로 하며 관련사업에 힘을 더 받고 있는 모습이다.
게다가 폴란드 우크라이나 개발협력 전권대표와는 우크라이나 재건과 개발 프로젝트를 협력하고,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국토 및 도시, 인프라 계획 등을 추진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 건설사들, 중·동부 유럽시장 진출 초석 마련
한국기업들은 이에 맞춰 폴란드를 중심으로 동유럽 시장 수주고를 올리는 동시에 관련 협약에 나서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도화엔지니어링과 국가철도공단 컨소시엄이 우크라 재건사업 한 축으로 평가되는 ‘폴란드 카토비체-국경-오스트라반 구간 철도 설계’(총 432억원 규모)를 수주한 바 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현대건설은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우크라이나 키이우 보리스필 국제공항공사와 공항 확장공사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보리스필 국제공항은 수도 키이우 도심에서 남동쪽으로 약 29km 거리에 위치하며 전국 여객 수송량의 62%, 화물 수송량의 85%가 집중된 우크라이나 최대 공항이다.
삼성물산은 우크라이나 최서단에 위치한 리비우시, 터키 오누르社와 함께 리비우시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대우건설은 지난 14일 폴란드건설협회와 현지 3위 건설기업 이알버드社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대우건설은 폴란드 현지 건설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됐으며, 이를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원전 사업 외에도 에너지, 인프라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한국 건설기업은 다수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한국 기업에 대한 현지 신뢰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며 "그간 우리 기업의 진출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 진출 지원에 힘입어 현지 건설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 것으로 보이기에 이를 기반으로 향후 더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건산연은 원활한 건설사업 수행을 위해 몇 가지 고려사항을 최근 주간건설동향을 통해 발표했다. 폴란드는 입찰서류 단계 작성부터 공사수행 전 과정에서 폴란드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건설공사 계약 시 독소조항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계약단계부터 공사 완료 시점까지 국제 변호사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현지 기술인력의 전문성도 국내보다 현저히 낮아 제3국(필리핀, 인도 등) 노동력을 투입하는 TCN(Third Country National) 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