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환 한국광해광업공단 핵심광물대응처장이 에너지경제신문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한국자원경제학회 후원으로 주최한 ‘2023 에너지자원 글로벌 협력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에서 ‘핵심광물자원 수급 안정화를 위한 협력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송기우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지금까지 자원개발 성과로 핵심광물 국내 수요량의 약 12%를 확보했습니다. 하지만 공공·민간의 공급망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수급환경에 대응할 안정적 공급망 구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서경환 한국광해광업공단 핵심광물대응처장은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이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동 주최한 ‘2023 에너지자원 글로벌 협력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에 참석, ‘핵심광물자원 수급 안정화를 위한 협력 성과와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자원개발 현황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서 처장은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등 탄소배출 감축이 산업·자원 패러다임을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며 "앞으로 지난 2020년 대비 2040년에는 자원 수요량은 리튬 42배, 코발트 21배, 니켈 19배, 희토류 7배 등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 세계 각국은 자국 경제안정을 위해 핵심광물 선정과 확보전략 마련 및 공급망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과 함께 우방국간 연대를 강화 중"이라고 강조했다.
서 차장은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핵심광물을 확보하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핵심광물 수요가 늘어가는 것과 비교할 때 중장기 광산 공급량은 부족하다"며 "광산을 탐사하고 생산까지 가는 데 걸리는 기간은 10년 이상이고 성공률도 10%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 인도네시아 원광 수출 금지, 남미 리튬 국유화 등 자원보유국들이 국익을 극대화하는 상황이다.
정부와 민간기업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도 핵심광물을 확보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지난 2월 정부가 수립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의 목표는 오는 2030년까지 10대 전략 핵심광물의 특정국 의존도를 50%대로 완화하고 재자원화를 통한 원료공급을 20%대로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기대응능력 강화, 핵심광물 확보 다각화, 핵심광물 확보 인프라 구축 등 전략과제를 세웠다.
이 같은 전략에 따라 지난해 말까지 핵심광물 대상으로 진행한 해외개발사업은 니켈 4개, 리튬 3개, 망간 1개, 희토류 2개다.
그 결과 핵심광물 국내 수요량의 약 11.7%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 처장은 "이 과정에서 국내 수요업체들은 광산투자보다는 장기 구매계약을 통한 물량확보를 선호한다"며 "리튬, 니켈 등 이차전지 핵심원료 중심으로 장기 구매계약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원보유국의 정부 개입 확대, 국내기업들의 초기 탐사사업 투자 기피 등을 감안해 공공부문의 사업발굴·탐사 및 사업화 지원 강화 등 안정적인 핵심광물 자원 공급망 확보를 위해 무엇보다 민관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