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현창

khc@ekn.kr

강현창기자 기사모음




다우기술, 키움증권 없으면 10년간 ‘제자리’… 내부거래 의존도 심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3 15:25

내부 매출 2.5배 늘 동안 자체 매출은 3% 증가

키움과의 내부거래 의존도↑… 한때 34%육박

키움 전산운용비 지출, 미래에셋증권보다 많아

회사 어려우면 도움 더 받아…증권가 “노력하라”

다우기술 CI

▲다우기술 CI

코스닥 상장법인 다우기술의 지난 10년 간의 성장은 대부분 키움증권과의 거래를 통한 것으로 분석된다. 계열사의 도움 없이는 실적이 지지부진한 모양새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다우기술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키움증권을 통한 매출이 성장을 주도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2389억원이던 다우기술의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10년 뒤인 2023년에는 2946억원으로 23.23% 증가했다. 외형적으로는 꾸준한 성장을 해온 것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이는 내재적인 성장이 아니다.


다우기술의 매출에서 키움증권과의 매출거래를 제외할 경우 지난 10년 동안 다우기술의 매출은 단 3.45% 증가하는데 그친다.


다우기술의 키움증권 매출거래 규모는 지난 2014년 332억원을 기록한 뒤 꾸준히 증가해 작년에는 818억원까지 증가했다. 10년 새 2.5배 증가한 셈이다.




다우기술의 전체 매출에서 키움증권 매출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13.92%에서 지난해 27.78%까지 증가했다.


다우기술이 어려울 경우 키움증권의 의존도는 더 커졌다. 지난 2017년 전체 매출 규모가 1819억까지 줄어든 다우기술은 키움증권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23.91%에서 그 이듬해 34.96%로 크게 증가한다. 그럼에도 전체 매출은 1922억원으로 2000억원을 하회했으며, 만약 키움증권 매출거래를 제외할 경우 매출은 1250억원까지 줄어들었다.


키움증권 입장에서도 다우기술에 일감을 주는 게 부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키움증권은 회사 규모 대비 전산운용비에 지출하는 자금규모가 큰 곳이다. 키움증권이 지출하는 전산운용비 대부분은 다우기술의 매출로 이어지는 구조다.


국내 증권사 중 키움증권보다 전산운용비를 더 많이 지출하는 곳은 삼성증권뿐이다. 삼성증권의 별도기준 자기자본 규모는 6조원대며 키움증권은 4조원대다. 자기자본이 9조원대에 달하는 미래에셋증권도 전산운용비 지출규모는 키움증권보다 적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다우기술의 키움증권 매출 편중이 장기적으로 건전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높은 내부거래 비중은 외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다우기술은 키움증권의 모회사다. 지분율은 47.70%다. 다우키움그룹은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받는 대기업집단으로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에서 다우데이타를 거쳐 다우기술, 키움증권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감몰아주기 규제를 받는 기업이지만 다우기술과 키움증권의 의존도 문제는 한 발 비켜나 있다. 공정위는 총수 일가가 지분 20% 이상을 가진 대기업집단의 계열사가 전체 매출의 12% 이상을 내부거래로 올릴 경우 일감 몰아주기 여부를 조사하는데, 키움증권과 다우기술은 총수 일가가 간접적으로 지배하기에,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다우기술 입장에서 키움증권에 대한 높은 매출 비중을 점진적으로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며 “계열사 매출에 기대다 보면 경쟁력 강화나 신사업 발굴 등에 소홀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