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9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윤하늘

yhn7704@ekn.kr

윤하늘기자 기사모음




“공모가 거품 여전”…하반기도 쉽지 않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5 15:02

케이뱅크·더본코리아 등 상장 앞둬

상반기 IPO 실적부진 등 논란 영향

조단위 대어도 투자심리 위축 가능성↑

사진=ChatGPT4.0

▲올해 하반기 케이뱅크와 더본코리아, 시프트업 등 대어급 상장이 예상되지만, 공모가 거품 논란을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사진=ChatGPT4.0

올해 하반기 케이뱅크와 더본코리아, 시프트업 등 대어급 상장이 예상되지만, 공모가 거품 논란을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새내기 종목들이 높은 가격에 상장하고 있는데다, 불안정한 실적과 경영 리스크까지 맞물려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이번주 중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통상 예비심사를 통과하면 6개월 내 상장이 마무리되는 만큼 연내 상장을 마칠 가능성이 높다. 케이뱅크의 예상 기업가치는 5~6조 수준이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2년 상장을 추진했으나, 변동성이 커진 장에 기업공개(IPO) 진행을 중단하기도 했다.


더본코리아도 지난달 29일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 빠르면 오는 7월 중에 승인여부 결정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 추산 중인 기업가치는 4000억원 수준이다. 더본코리아도 예심청구서에 희망공모가로 주당 2만5000원~3만원을 적어냈다. 이를 근거로 계산하면 상장 후 시가총액은 3366억원~4039억원이다.


더본코리아는 백종원 대표 및 임원 3인이 보유한 지분이 95.2%에 달한다. 더본코리아는 2018년 상장을 추진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연기한 바 있다. 더본코리아는 이번에도 상장 전 암초를 만났다. 더본코리아의 프랜차이즈 브랜드 중 하나인 연돈볼카츠 가맹점주 일부가 더본코리아를 가맹사업법 등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면서다.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은 더본코리아가 가맹점을 모집 및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예상매출액을 과장 광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서 더본코리아 측도 이에 앞서 지난 4월 28일 공정위에 '허위과장 정보 제공'에 대한 의혹을 판단해달라며 심의를 요청한 만큼 이목이 쏠린다. 다만, 연내 상장을 추진하는 더본코리아로서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하반기 첫 유가증권시장 새내기 종목은 게임사 시프트업이다. 시프트업은 오는 27일까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다음달 2일과 3일 일반투자자 청약을 진행한다.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4만7000~6만원, 공모 규모는 공모가 범위 상단 기준 4350억원이다. 7월 중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기술특례로 코스닥에 상장하는 종목도 있다. 이노스페이스는 다음달 2일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노스페이스는 우주항공 스타트업으로,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엔진(고체연료·액체산화제)을 탑재한 소형 로켓을 발사하는 서비스를 영위한다. 공모가는 4만3300원으로 확정됐고, 상장 후 시가총액은 4062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제일엠앤에스에 이어 올해 코스닥 IPO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올해 상반기 상장한 종목들 중 60% 이상이 공모가를 하회하고 있는 점은 하반기 상장 종목에도 부담이다. 1월 29일 상장한 포스뱅크는 공모가(1만8000원) 대비 50% 이상 하락했다. 아이씨티케이(2만원)와 스튜디오삼익(1만8000원), 케이웨더(7000원)도 공모가 대비 각각 48.8%, 37.7%, 31.1% 떨어졌다. 올 상반기 최대어 HD현대마린솔루션도 공모가(8만3400원)를 웃돌고 있지만, 최고가 대비 30% 가량 하락한 상태다.


증권가에서는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까지 대어급 상장이 지속되겠으나, 기업가치 대비 높은 공모가에 대한 불확실성은 점차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철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IPO 시장에서 확정공모가가 밴드 상단으로 확정되는 경우가 많았고, 상장 첫날 급등 후 급락으로 나타났다"며 “IPO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수익률은 점차 줄어들면서 피로도가 높아진 상태인데, 이는 하반기에도 반복되면서 공모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