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스템이 확대되면서 2038년 전력 수요가 정부 예측보다 31% 추가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요 전력 수요는 수도권에 집중된 데 비해 무탄소 공급설비는 비수도권에 집중돼 이를 연결하기 위한 계통비용으로 100조원이 소요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사)전력산업연구회(회장 조성봉)는 3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AI발 전력수요 폭증의 시대, 전력산업 준비되었나?'를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첫번째 발제를 맡은 전우영 전남대 교수는 'AI 혁명과 전력수요 전망'에서 “전기화와 AI의 영향으로 2038년 전력수요가 목표수요 대비 최대 약 31% 추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을 포함한 무탄소 전원의 90% 이상이 비수도권에 위치해 있는 반면, 수요는 상당 부분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수요-공급의 지리적 불일치로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계통보강에 약 100조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와 같이 송전망 건설이 계속 지연될 경우 경제적·환경적·사회적 비용도 급증할 수 있다고 전 교수는 주장했다.
전 교수는 “현재의 전력 수요-공급 불일치가 계속될 경우 2038년에는 호남·영남 지역의 잉여 무탄소용량은 계통의 수용한계를 초과할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난 6월 발효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빠르게 정착돼 수요는 비수도권으로, 공급은 수도권으로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두번째 발제를 맡은 박종배 건국대 교수는 'AI발 전력수요 폭증이 전력산업에 미치는 영향'에서 “AI 등 미래 혁신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안정적· 경제적·환경적 전력공급이 필수적"이라면서 “지난 60여년간 우리 전력산업에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전력을 공급한 '정부, 한전, 전기사업자'의 역할이 모두 불확실하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박 교수는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와 태양광 등 인버터 발전원의 증가로 전력망과 전력계통 운영은 점점 어려워지고, 첨단 반도체 단지와 데이터센터 등이 수도권 중심으로 구축돼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적기에 송전망을 건설해야 하며, '국가기간 전력망 특별법'의 제정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활용해 수요 분산화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교수는 “재생에너지가 절실한 RE100 기업에게는 직접전력거래(PPA) 활성화를, 저탄소가 필요한 수출 기업에게는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에너지(CFE)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RPS)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고, CFE PPA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도소매 전력시장의 정상화 및 전기요금을 결정하는 전기위원회의 독립성 강화와 같은 제도적 보강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토론에 나선 김지효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혁명과 이를 뒷받침하는 후방의 반도체 산업의 변화까지 고려한다면 글로벌 전력수요는 2023년 IEA의 NZE(Net Zero Emission) 시나리오보다 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류성원 한국경제인협회 팀장은 첨단산업 육성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정부의 특화단지 전력공급 계획에 동의하지만, 무탄소에너지 활용 비용의 인상 및 전력설비 일정 지연 리스크 해소를 위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손용호 강릉에코파워 부사장은 AI발 전력폭증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균형잡힌 전원믹스가 필요하며 전력사용의 경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I관련 산업의 관점에서 전력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현보 전력거래소 본부장은 미래에도 현재와 같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품질을 유지하며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송전망과 발전설비의 적기 투자와 더불어 시장제도와 기술적 규제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헌혁 LG CNS 단장은 과거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장과 함께 확장된 데이터센터 사업은 최근 AI 사업의 개화로 인해 그 성장세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