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멥신 CI
타이어뱅크가 상장폐지 위기에 처한 파멥신에 대한 베팅 규모를 늘리고 있다. 파멥신의 정관에는 타이어 관련 사업도 추가한다. 파멥신을 통한 우회상장과 동시에 상장 유지를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확인한 결과 파멥신은 오는 8월 2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정관에 타이어와 자동차부품 판매업을 추가하기로 했다.
이는 타이어뱅크의 우회상장을 공식화하는 조치다. 여기에 더해 파멥신의 향후 최소 매출 확보를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파멥신에서 문제가 되는 상장폐지 사유 중 하나가 분기매출 미달이다. 파멥신에 타이어 관련 사업이 추가되면 매출을 늘리기는 어렵지 않다.
타이어뱅크는 올해 1월 50억원을 투입해 파멥신의 지분 13.31%를 확보한 바 있다. 당시 파멥신의 기존 최대주주 지분이 반대매매되면서 그 틈을 타 비교적 싼 가격에 상장사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한 것이다. 이를 두고 헐값에 증시 입성을 노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문제는 파멥신이 유상증자 철회에 따른 벌점 누적으로 타이어뱅크의 최초 투자 보름만에 거래가 정지됐다는 점이다.

▲타이어뱅크 CI
타이어뱅크 입장에서는 선택의 기로에 섰다. 결정은 '고'다.
타이어뱅크는 지난 6월 46억원, 7월 43억원, 그리고 최근 260억원 등 잇따른 유상증자를 통해 파멥신에 총 400억원을 투입했다.
파멥신의 시가총액이 880억원이라는 점에서 50% 가까운 지분을 살 수 있는 규모의 자금 투입이 이뤄진 것이다.
만약 파멥신이 상장폐지될 경우, 타이어뱅크는 투자금의 일부를 회수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최대주주로서 자산 매각이나 배당 등의 방법을 통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유상증자로 투입된 자금은 여전히 회사 내에 존재하며, 타이어뱅크 측 인물들이 이미 회사 이사회에 진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이 파멥신의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지분을 반대매매로 모두 잃은 유진산 전 파멥신 대표는 불성실공시와 임상 중단 등으로 인해 주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파멥신의 주요 투자자 중 하나인 유콘파트너스는 유 전 대표를 엄부방해와 사기로 고발까지 했다.
새로운 오너가 된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도 탈세 소송 등 개인적인 리스크가 있다. 하지만 파멥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집행에 나서고 있어 주주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파멥신이 상장을 유지하면 타이어뱅크의 증시 입성은 확실해보인다"며 “파멥신이 개발 중이던 항체치료제 투자가 계속될지 여부는 거래정지를 겪고 있는 주주들 입장에서는 중요한 문제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