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강현창

khc@ekn.kr

강현창기자 기사모음




퓨처코어 유형자산 양도, 쌍방울그룹 내 ‘파킹’ 의혹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23 18:00

170억 부동산, 그룹 내 신설법인에 매각

상폐 위기 앞두고 자산 보호 목적 추정

금투업계 “자금 이동 주의깊게 살펴봐야”

퓨처코어 CI

▲퓨처코어 CI

쌍방울그룹 산하의 코스닥 상장사 퓨처코어(옛 SBW생명과학)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진행한다는 유형자산 양도가 알고 보니 그룹에 자산을 넘겨두는 '파킹' 성격의 딜로 확인됐다. 상장폐지 위기를 앞두고 회사 자산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두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퓨처코어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북양리의 토지 및 건물을 170억원에 에이아이링크에 양도한다고 지난 22일 공시했다.


이번 공시만으로는 퓨처코어와 에이아이링크의 관계가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확인 결과 퓨처코어와 에이아이링크는 결국 모두 쌍방울 그룹 내에서 움직이는 곳으로 확인된다.


확인 결과 에이아이링크는 지난 8일에 자본금 1억원으로 설립된 신생법인이다. 임원으로는 송세열 사내이사 1인이 등록된 곳이다.


송 이사는 쌍방울그룹의 다른 관계사인 코스닥 상장법인 디모아의 경영관리본부장(등기이사)으로도 재직 중이다.




쌍방울그룹과 관계가 깊은 코스닥 상장법인 미래아이앤지에서 재무회계팀장으로도 재직한 경력이 있다. 추가로 최근 디모아가 경영권을 인수한 코스닥 상장법인 비투엔의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자본금이 1억원에 불과한 에이아이링크가 170억원에 달하는 부동산을 매입할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이런 구조로 보면 해결된다.


결국 쌍방울 그룹의 자금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매각하는 퓨처코어의 부동산은 거래 종료 후에도 여전히 쌍방울 그룹 내에 있게 될 가능성이 높다.


퓨처코어가 이런 거래에 나선 배경은 최근 발생한 상장폐지 위험에 대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퓨처코어는 올해 초 회계규정 위반으로 인해 증권선물위원회의 검찰 고발을 받았다. 지난 2018~2019년에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 주식 손상을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추가로 해외 자회사가 특정 거래처와 진행한 매입채무 대위변제 계약 내용도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에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위원회는 퓨처코어의 상장폐지를 결정했으며, 현재는 이에 대한 이의신청기간이다. 이의신청이 이뤄지면 20일의 심사기간이 추가된다.


한편 퓨처코어의 실적은 개선세다. 지난 1분기 매출액 157억원, 영업이익 5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주요 사업 부문의 체질 개선과 웨이퍼 수급 안정화, 재고 관리 효율화 등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러한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상장폐지 위기와 회계규정 위반으로 인한 재무구조의 투명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최근에는 쌍방울 그룹 전체적인 재무 위기도 부각되는 중이다. 22일 쌍방울은 자본 잠식을 해소하기 위해 98% 비율의 무상감자를 결정했다. 기명식 보통주 50주를 동일한 액면주식 1주로 병합하는 방식이다.


감자가 진행되면 쌍방울의 발행 주식은 2억6259만2129주에서 525만1843주로 줄어든다. 이에 자본금도 1312억9606만4500원에서 26억2592만1500원으로 줄어들면서 자본잠식을 해결할 수 있다.


쌍방울은 지난해에도 무상감자를 결정했으나, 주주총회 정족수 부족으로 부결된 바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퓨처코어의 이러한 거래 방식은 회사의 자산을 빼돌리거나, 재무상태가 개선되고 있다고 외부에 속이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며 “상폐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거래라는 점에서 자금의 이동을 보다 주의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