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가 900억원에 가까운 유상증자 소식을 발표하면서 주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조달한 자금은 관리종목 지정 해제를 위해 쓸 예정이다. 하지만 연초 관리종목 지정 당시 자력으로 탈피하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던 만큼, 주주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전날 에스티큐브는 두 건의 유상증자 결정을 공시했다. 우선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관계사 에스티큐브앤컴퍼니로부터 130억원을 수혈받는다는 계획이다. 뒤이어 공시된 주주배정 유상증자의 경우 약 757억원 규모에 달한다.
자금조달 목적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항암제 '넬마스토바트'의 임상비용으로 기재됐지만, 속사정은 다르다. 에스티큐브는 2022년, 2023년 연속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하 법차손)이 자기자본 대비 50%를 초과해 현재 한국거래소로부터 관리종목으로 지정받은 상태다. 때문에 이번 유상증자로 끌어모은 자금으로 자본을 확충해 법차손 비율을 줄여 관리종목 지정요건에서 탈피하겠다는 의도다.
당초 에스티큐브는 넬마스토바트의 기술이전을 연내 성공시켜 수익을 창출해 관리종목 지정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협상이 늦어지고 연말이 다가오자 결국 유증이라는 카드를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주주배정 유상증자만 놓고 봤을 때도 발행되는 신주가 1850만주로 현재 발행주식(4669만4249주)의 약 40%에 달하는 만큼 대규모 주가 희석이 예상된다. 이에 에스티큐브 측에서는 곧장 주주서한을 게시해 본격적인 '주주 달래기'에 나서기도 했다.
특히 회사는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문제일 뿐, 현금 유동성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회사의 영업이익·순이익 적자는 지속되고 있으나 올 상반기 말 기준 자본잠식 상태는 아니며, 보유 현금성자산도 216억원이 모여있다. 부채비율은 30%대, 이자비용은 5000만원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양호하다.
회사 측은 주주서한을 통해 “에스티큐브앤컴퍼니는 넬마스토바트의 신약개발 가치를 높게 평가한 전략적 투자자들로부터 상당 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했다"며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현 최대주주 바이오메디칼홀딩스와 특수관계인 에스티사이언스는 배정주식수의 100%를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국 에스티큐브 개인주주들은 회사를 믿고 유증에 참여하느냐, 향후 주가 희석을 우려해 발을 빼느냐를 놓고 고민에 빠지게 됐다.
문제는 신뢰다. 올해 초 관리종목 지정 당시 에스티큐브 측은 “연내 가시적 성과로 관리종목 탈피", “임시방편식 대처 않겠다"고 자신했으나 결국 주주들의 돈으로 재무 문제를 해결하게 돼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에스티큐브가 2년 전 진행한 대규모 유상증자도 마음에 걸리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2년 5월경 에스티큐브는 총액 476억원에 달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진행, 넬마스토바트의 연구개발비용 및 판관비로 계획했다. 해당 자금은 올해 하반기까지의 비용을 감안한 것이었다.
그러나 작년 예상치 못한 비용 집중으로 법차손 비율이 초과돼 관리종목에 지정되는 회계적인 실책을 저질렀으니, 회사 측에 대한 주주들의 신뢰가 손상된 것은 필연적인 결과로 보인다. 유증에 응한다 해도 넬마스토바트의 사업성이 확인돼야 이익을 볼 수 있는데, 아직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종목토론방에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다. '760억의 주주 유증은 심하다'는 글을 비롯해 에스티큐브의 특기로 '고아원보내기 전에 짜장면 먹이기'라는 조롱섞인 글도 올라오는 상태다.
에스티큐브 측 관계자는 “대표이사까지 무보수로 일하며 노력했으나 결국 주주들에 대한 약속을 어긴 셈이 됐다"며 “이번 주주배정 유증은 최후까지 미뤄두고 있었으나,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아 관리종목 지정 해소를 우선하게 돼 불가피하게 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