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데이터센터 산업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부지 확보와 주민 반대, 전력 공급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현상 심각“
6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회사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한국의 수도권 데이터센터 시장은 개발 가능 토지의 제약과 지역 사회의 반대로 인한 인허가 및 착공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는 2029년까지 신규 데이터센터 732개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601개, 즉 82%가 수도권에 집중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은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사와 네이버, 카카오 등 IT 기업, 그리고 일부 금융사와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산운용사, 사모펀드, 디벨로퍼, 건설사 등 다양한 재무적 투자자들도 시장에 진입하고 있으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참여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 증가와 시장 확대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센터 건립은 여러 가지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특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2023년 하반기 수도권 데이터센터가 100MW가 공급된 데 비해, 2024년 상반기에는 36MW만이 공급되었다.
원할한 공급 확대를 위해서는 수도권 집중 현상 해결이 업계의 최대 숙제다. 현재 수도권 데이터센터는 국내 운영 용량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도권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력 인프라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 대책 마련에도 난제 산적…전력·부지 확보 '난항'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4년 6월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하 분산법)을 시행했다.
이 법은 수도권 외 지역에서의 데이터센터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전력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6년 5월까지 비수도권에서 22.9kV 전력을 공급받는 데이터센터에 대해 전기 설비 부담금을 50% 할인해 주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센터와 고객 간의 물리적 거리가 멀수록 전송 지연(latency)이 증가하는 문제가 업계의 벌목을 잡는다. 추가로 숙련된 데이터 센터 관련 인력을 활용하기 어려운 점 등 여러 가지 경제 및 인프라적 요인으로 인해 데이터센터 수요자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력 및 부지 확보의 어려움도 심각하다.
지난해 3월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5MW 이상의 전력 수요가 전력 계통에 부담을 줄 경우 한국전력공사가 전기 공급을 거부할 수 있게 되면서 수도권 데이터센터에 전기 공급이 제한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2024년 들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전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수도권 데이터센터에 전력 공급을 불허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2024년 상반기 신규 허가를 득한 사업지는 메이플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시흥시 1건에 불과하다. 전 분기 신규 인허가가 7건을 기록했던 것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다.
◇안전 규제 강화에 비용 부담↑…주민 반대도 걸림돌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디지털 안전 3법(방송통신발전법, 정보통신망법, 전기통신사업법)을 시행한 것도 데이터센터의 공급 확대에는 숙제다.
이에 따라 전산실의 바닥 면적이 2만2500㎡ 이상이거나 수전 설비 용량이 40MW 이상인 시설, 전년도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데이터센터는 의무적으로 재난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전산실 바닥 면적이 500㎡ 이상인 데이터센터는 별도의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하며 관리와 보고 체계 관련 규제가 강화됐다.
이러한 규제 강화는 데이터센터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동시에 데이터센터 건립 및 운영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건설비용지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데이터센터 건립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민 반대와 님비(NIMBY) 현상도 데이터센터 건립의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수도권 내 데이터센터 착공 신고를 완료한 사업지는 Digital Realty가 발주해 DL이앤씨가 착공한 김포 Digital Seoul2 1건에 불과하다. 2024년 상반기 착공이 계획되어 있던 고양시 데이터센터는 주민 반대로 착공이 지연되었다.
◇해외 사례서 배운다…지역사회와 '상생' 모색
업계에서는 지역과의 상생사례를 외국에서 찾아보기도 하는 중이다. 아일랜드에서는 'DCs for Bees'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센터 운영자들이 기존 및 신규 캠퍼스 개발에 벌 친화적인 식물을 심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효과로 데이터센터 운영자들이 공동으로 아일랜드 전역에 과수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영국 히스로에서는 University Technical College Heathrow의 'Digital Futures'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센터 산업과 협력하여 젊은이들을 엔지니어로 교육하고 있다. 이는 지역 고용 기회를 개선하고 데이터센터 산업의 엔지니어링 기술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한 데이터센터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집중 완화, 지역 균형 발전, 주민과의 상생, 환경 문제 해결, 에너지 효율성 제고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데이터센터 산업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성장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