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7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퇴직연금 실물이전’ 고객 쟁탈전 소외된 보험업계…수익률 따라 양극화 예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1.27 17:33

지난달 31일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 개시
보험계약 형태는 실물이전 불가…분위기 미지근

IRP 수수료·상품 다양성 면에서도 증권사에 뒤져
업계 “수수료와 중장기 수익률 관리 방식 살펴야”

퇴직연ㅇ금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에서 기존에 가입해 둔 퇴직연금 상품을 타 금융사 계좌로 옮길 수 있는 제도다.

지난달 말부터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금융권 내 고객 유치전이 치열해졌지만 보험업권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분위기다. 보험업권에선 수익률이나 운용수수료에 차별성을 두는 방식으로 일부 회사가 공격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 개시에도 보험업권 '조용'

27일 보험업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시작됐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에서 기존에 가입해 둔 퇴직연금 상품을 타 금융사 계좌로 옮길 수 있는 제도다. 종전에는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금융사로 옮길 시 보유한 상품을 팔아 현금화한 뒤 이전하는 방법을 이용해야 했다.


중도해지를 할 경우 낮은 금리를 받으면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가입자들은 처음 가입한 금융사에서 계약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제는 이런 손실 없이 타 금융사로 이관이 가능해진 것이다.


실물이전이 가능한 상품은 신탁계약 형태의 원리금 보장상품, 공모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등 주요 퇴직연금 상품 대부분이다. 다만 이전을 희망하는 사업자가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 등 동일 제도 내에서 동일한 상품을 취급하고 있어야 이전이 가능하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규모는 400조원이 넘는다. 작년 한 해 동안 퇴직연금 사업자가 거둬들인 연간 수수료 수입은 1조4000억원 이상인데다 400조원이 넘는 규모의 자금이 잠재적으로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은행과 증권사 등 금융권은 제도 시작 이전부터 각종 고객 유입을 위한 프로모션을 시행했다.


다만 보험사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격화되지 않고 있다. 디폴트옵션 상품이나 퇴직연금 계약이 보험계약 형태인 경우 실물이전이 불가능하기에 상대적으로 이동해오는 자산이 적을 것으로 예상돼서다. 보험사의 경우 대부분 실물이전 대상이 아닌 보험형 자산관리계약이 적립금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아울러 IRP 수수료도 업계 평균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번제도 시행 후 업권 유입보다 유출이 더 많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 17곳의 개인형 퇴직연금(IRP) 수수료는 지난달 말 가입자 부담분 기준 0.16~0.465%다. 6곳을 제외하고 모든 보험사는 0.3~0.4%대에 형성돼있다. 반면 은행 13곳의 수수료는 0.16~0.298%로 KBB산업은행(0.16%)을 제외한 모든 은행의 수수료가 0.2%대다. 증권사의경우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하나증권, 한화투자증권이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있다.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5곳 증권사는 0.15~0.296%의 수수료를 받는다.


상품 다양성의 경우에도 보험사가 불리하다. 보험사는 은행과 같이 취급 ETF가 100여개인데 반해 증권사에서 매매가 가능한 ETF는 770여개에 이른다.


퇴직연금 사업자로서도 금융권 내 가장 적은 규모를 취급하고 있다. 3분기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 400조878억원 중 은행권 적립 규모는 210조2811억원, 증권사는 96조5328억원, 보험사는 93조2654억원이다.



보험사 운용 역량별로 '양극화' 예상…“수수료 등 따져야"

이 때문에 금융권에서는 사실상 은행과 증권사 간 유치전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퇴직연금 운용에 강점이 있는 보험사들은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운용 수익률을 보이기도 하면서 보험업계 내부에서도 분위기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원리금 보장형 기준 DB형 수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푸본현대보험(4.60%)이다. 교보생명(4.57%), IBK연금보험(4.56%), 미래에셋생명(4.46%), 롯데손해보험(4.38%)도 4%대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동양생명은 지난 3분기 디폴트옵션 고위험 상품군에 대한 수익률 부문에서 '디폴트옵션 고위험BF1' 상품이 연간 수익률 27.30%를 달성해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은행·증권·보험 등 41개 퇴직연금사업자가 판매 및 운용 중인 88개의 고위험 등급 상품들 중 전체 수익률 1위다.


미래에셋생명은 3분기 퇴직연금 사업자 중 DC형 수익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퇴직연금 원리금 비보장형 기준 확정기여형(DC형) 수익률이 최근 1년 수익률 기준 15.1%로 전 금융권 중 1위를 차지했다고 지난달 말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기별로 쪼개 1위를 한 경우거나 DC·DB 등 일부 제도에 국한된 성적이거나, 보험이나 은행 등 '업권 내 1위'를 강조한 성적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DC형이나 IRP의 경우 퇴직연금 사업자가 운용에 관여하지 않기에 단순히 수익률을 보고 계좌를 옮기는 것이 본인의 수익률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단순히 수익률이 높았다는 기사를 보고 퇴직연금 사업자를 선택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니다"라며 “IRP의 경우 수수료 편차가 심해 일단 수수료부터 확인해야 하며, 본인이 퇴직하는 시점에 마이너스가 나지 않는 것 또한 관건이기에 얼마나 지속적으로 수익률을 내는지나 중장기수익률 관리 방법 등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