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민관 협력으로 수소경제 전환 가속…‘한국수소환경협회’ 출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06 13:31

수소차 보급 확대·충전 인프라 확충·그린수소 생산 활성화 목표

6일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한국수소환경협회 창립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환경부

▲6일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한국수소환경협회 창립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환경부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6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한국수소환경협회' 창립식을 열고, 수소차 보급 확대, 충전 인프라 확충, 그린수소 생산 활성화를 목표로 한 민관 협력을 본격화했다.


'한국수소환경협회'는 그린수소 생산과 충전, 수소차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간의 소통 강화를 위해 설립됐다. 협회는 윤종수 세계자연보전연맹 이사를 위원장으로 위촉하고, 정책제언, 기술개발, 거버넌스 3개 분과위원회를 운영한다. 협회의 간사 역할은 한국수자원공사가 맡는다.


협회는 그린수소 보급 확대와 함께 △탄소중립 기여 △물산업 육성 △대기질 개선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전해 방식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수전해 기술의 핵심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하고 국내외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협회 참여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역할도 수행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따라 수송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2030년까지 30만 대의 수소차 보급과 660기의 수소충전소 구축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성남정수장, 밀양댐, 충주댐 등에서 수전해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 및 충전시설 설치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협회 창립은 그린수소 기반 산업 활성화뿐만 아니라 탄소중립, 물산업 육성, 대기질 개선 등 다방면에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한국수소환경협회 창립은 그린수소 보급 확대를 위해 산업계, 학계, 지자체, 정부가 함께 노력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수전해 분야 핵심기술 개발, 지원책 발굴, 국제협력 확대를 통해 그린수소 기반 수소차 산업 발전은 물론 탄소중립 실현, 물산업 육성, 대기질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협회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참여 기관들의 힘을 모으겠다"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