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빠른 속도로 늘어난 가계대출 증가 폭이 연말에는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 규제가 새로 시작되는 새해 규제 빗장을 풀면서 가계대출의 숨통이 틔였다. 하지만 실수요자 중심으로 가계대출 규제가 풀린 데다, 여전히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가계대출이 작년처럼 급격하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금융사들의 가계대출을 월별, 분기별로 관리하며 관리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한다.
5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해 12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734조1350억원으로 전월 대비 7963억원 늘었다. 가계대출은 지난 8월 한 달 동안 9조6259억원이 늘어나 10조원 가까이 불어나며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보였다. 이후에는 강화된 가계대출 규제에 따라 증가세가 꺾이기 시작해 지난달 증가 폭은 1조원 미만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한 해 가계대출은 총 41조7256억원 불어나 역대 최대로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면서 거래 수요가 늘어나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상승을 주도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지난해 12월 말 잔액은 578조4635억원으로, 지난해 48조5713억원 증가했다. 전월에 비해서는 1조4697억원 늘어나며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 연속 1조원대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연말 은행들의 가계대출 규제가 효과를 보이며 은행권은 가계대출 관리에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새해 들어서는 다시 가계대출 빗장을 풀고 있다. 은행들은 총량 규제에 따라 연간 목표치를 설정해 가계대출을 관리하는데, 한 해가 지나면 새로 목표치가 설정돼 가계대출에 여유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IBK기업은행은 지난 2일부터 다른 은행에서 갈아타기(대환)로 넘어오는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을 취급하고 있다. 또 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전세대출과 비대면 채널을 통한 신규 가계대출도 재개했다. 주택담보대출 모기지보험(MCI·MCG) 적용도 다시 가능해졌다. MCI·MCG는 주택담보대출과 동시에 가입하는 보험으로, 이 보험이 없으면 소액임차보증금을 뺀 금액만 대출을 받을 수 있어 대출 한도가 사실상 줄어든다. 이 보험이 적용되면 서울 지역은 최대 5000만원 이상 대출 한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1주택자 생활안정자금용 주택담보대출 한도도 1억원에서 2억원으로 늘렸고, 신규 분양 아파트에 대한 조선부 전세자금 대출도 풀었다.
앞서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도 지난해 말부터 대출 문턱을 낮추고 있다. 신한·우리은행도 지난 2일부터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1억원에서 2억원으로 늘리고 국민은행은 한도를 두지 않기로 했다. MCI·MCG 적용 제한도 해제했다.
은행들이 대출 한도를 풀고 있지만 지난해처럼 가계대출이 급격하게 불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 위주로 대출 문턱이 낮춰지고 있고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은 여전히 대부분 막혀 있는 상태다.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느슨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계대출 가산금리도 떨어지지 않고 있다.
7월부터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도입되면서 대출 한도도 줄어든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대출 목표치를 넘어선 신한·하나·우리은행과 인터넷은행, 지방은행에 대해 페널티도 부과할 방침이다.
무엇보다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금융사들에게 가계대출 연간 관리 이상의 월별, 분기별 관리를 요구하면서 가계대출 모니터링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지난해 대출이 급증했던 것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확대를 경계하고 있다"며 “은행들이 대출 문턱은 낮췄지만 한도나 금리 등을 조절하면서 공급량을 크게 늘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출이 완화됐기 때문에 대출 관리가 어려울 정도로 불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