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국내 기업의 회사채 순발행액 규모가 포스트 코로나 이후 최저 규모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심각해지면서 리스크 높은 국내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어든 탓에 기업들이 회사채 순발행액 규모가 지난해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경기 위축과 환율 급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변화 등 대내외 악재가 산적한 상황에서 기업의 자금줄까지 묶이면서 큰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월 순발행액 2조9498억원…발행하고 싶어도 수요 없어
4일 산업권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회사채 순발행액이 예년보다 크게 줄었다. 올해 1월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액에서 상환액을 제외한 순발행액은 2조9498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해 1월 7조1047억원에 비해서 58.48%(4조1549억원) 줄어든 수준이다.
또 2022년 1월의 3조3137억원과 2023년 1월의 4조6969억원에 비해서도 적은 규모다. 코로나19 사태가 극심해 향후 경제 상황을 예측하기 어려웠던 2021년 1월 1보8944억원 이후 최저치다.
올해 2월 이후 회사채 만기 도래 물량이 상당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줄일 이유가 없다. 실제 올해 2월부터 연말까지 11개월 동안 회사채 만기 도래 규모는 70조944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2~12월 만기 도래 물량인 76조6775억원보다는 적으나 2022년과 2023년 같은 기간 만기 도래 물량인 57조8212억원과 65조6444억원 보다는 훨씬 많은 수준이다. 향후 만기 도래 물량을 감안하면 2022년과 2023년보다 회사채를 많이 발행하고 싶을 상황이나 그만큼 발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지난해 말 국내 기준금리가 3%로 하향 조정됐음을 감안하면 3.5% 수준이었던 2023년과 지난해 1월보다 회사채 발행에 이자 부담이 상당히 줄어든 상황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탄핵 정국 등 국내 불확실성이 급증하면서 위험성이 높은 국내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줄었다. 시장에서 수요가 없기에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하고 싶어도 발행하기가 어려운 형국이 지속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올해 초 기업 경기전망 4년 만에 최저치…악재 겹쳤는데 자금줄 막히면 위기
문제는 올해 경기 위축이 지속되고 환율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변화 등으로 대내외 악재가 산적한 상황에서 기업들의 자금 조달마저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61'로 집계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전분기(85)대비 24포인트(p) 줄어든 수준이며 최근 4년 동안 최저치에 해당한다. BSI가 100 이하라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국내 정치이슈로 인해 2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계엄사태 전에 실시된 1차 조사(11월 19일~12월 2일)는 2281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1분기 전망치가 '72'로 집계됐다.
2차 조사(1월 6일~1월 15)는 지역·업종 등을 비례할당해 추출한 41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1분기 전망치가 1차 조사보다 11p 추가 하락한 '61'로 나타났다. 이는 정국불안, 강달러, 트럼프 정책기조 등 대내외 악재가 그만큼 기업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권 관계자는 “국내의 정치 불확실성과 경기 위축, 환율 급등 등 악재가 우리 경제 전반의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상황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다면 갑작스레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