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효율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3.e41de8043b24495fb32aba28fe09a089_P1.jpg)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7회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 포럼'에서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효율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유병욱 기자
“에너지효율 향샹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요소 중 환경 부문에서 핵심입니다. 지역의 대기오염을 저감하면서 국민 보건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용 창출, 빈곤 퇴치 등에서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효율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에너지경제신문과 에너지경제연구원 주최,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제7회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 포럼' 세미나에 참석, 'ESG경영을 통한 에너지절약과 에너지효율 향상'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ESG 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관 투자자들이 ESG를 고려한 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있다"며 “애플, 구글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ESG가 미흡한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 또한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등 고객들의 ESG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ESG 평가 결과를 기업의 신용등급에 반영하고 있다"며 “유럽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정보공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계획을 발표하는 등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에너지효율은 ESG 경영의 요소 중 환경 부문의 핵심 요소"라며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이 에너지 사용량에 기인해서 에너지 효율은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ESG 경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ESG 경영정보 고시 기준에서 에너지효율 관련 지표들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21년 한국거래소에서 'ESG 정부 공개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산업부는 지난 2021년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지속 업데이트하고 있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ESG 지표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전했다.
그는 절감 잠재량을 분석,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림, 절감 이행 및 성과 분석으로 크게 나누어 설명했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절감 잠재량 분석으로 에너지진단 의무화제도, 산업진단보조를 먼저 소개했다.
에너지진단 의무화제도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다소비업자에게 3년 이상의 주기로 의무적으로 진단을 받도록 해 사업장 및 국가의 에너지이용합리화를 도모하기 위한 제도다. 대상은 연간 에너지사용량 2000toe 이상 에너지다소비 사업자다.
소 선임연구위원은 목표 설정 및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에너지효율혁신파트너십(KEEP 30),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등을 제안했다.
KEEP 30 협약에 따른 연간 에너지사용량 20만toe 이상 철강, 석유화학, 정유 등 8개 업종 대표 에너지 다소비 기업 30개사는 자발적 협약을 통해 에너지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절감 이행 및 성과 분석을 위해서는 에너지이용합리화 자금지원 및 세제지원제도, 에너지사용량 신고제도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절약형 시설 투자시 소요자금의 일부를 장기 저리 융자 및 이차보전을 지원하는 제도다.
그는 “기업의 특성과 업종 환경을 고려, 적절한 ESG 경영 고시를 선택해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며 “여러 단계에서 정부 정책을 연계한다면 비용 효과적인 에너지효율 향상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