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4.0c07d9015db34b92ac996823e5901460_P1.png)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7회 에너지시설안전포럼에서 이재광 ESG모네타 대표, 양환식 한국수력원자력 산업안전실 산업안전보건부장, 박기령 한국법제연구원 기후변화 ESG법제팀 연구위원, 정우진 에너지경제신문 부사장, 황진택 제주대 공과대학 교수,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오준석 한전 배전망사업실 팀장(왼쪽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유병욱 기자
제7회 대한민국 에너지시설 안전 포럼에 참석한 국회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분산에너지 확산에 따른 안전강화를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경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포럼에 직접 참석한 박지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탄소중립 목표를 위해 에너지시스템을 바꿔가는 과정에서 탄소중립도 중요하지만 안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사실 이런 주제가 많이 논의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평소에 잘 다뤄지지 않았다"며 “오늘 포럼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영과 에너지산업에 대한 심도있는 토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ESG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경영결과를 투명하게 공시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그 가운데에서 안전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고 성과를 측정할지 등에 대한 부분을 우리 기업과 정부, 사회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시스템과 통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국회에서도 관련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더 관심을 기울이도록 하겠다. 앞으로 산업계, 학계 또 시민사회와 소통하면서 필요한 그런 제도적 보완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분산에너지 정책은 전력산업 기업들의 중요한 ESG경영 과제다. 분산에너지 정책은 기존의 중앙집중적 전력 생산·소비에 따르는 비효율과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탄소중립에 필요한 신재생에너지의 생산·소비를 확대할 기회"라며 “분산에너지의 성공적 안착은 분산에너지 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 소규모 단위 에너지 생산·유통 과정에서의 사고 위험 예방과 에너지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원은 이어 “오늘 포럼에서 논의된 분산에너지 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 방안이 현장에 안착해 분산에너지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여러분의 지혜와 힘을 모아주시길 당부드린다"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으로서 여러분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전력산업의 ESG경영 실천과 분산에너지 정책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덧붙였다.
김소희 국민의힘(원내부대표) 국회의원도 “ESG 경영에서 '환경'과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고, 그 중에서도 '안전'은 사회적 책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며 “기업이 안전을 철저히 관리하지 않으면 지역사회와의 신뢰를 잃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최근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송배전망 확장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시설과 같은 새로운 에너지 기술을 도입할 때, 그 기술이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안전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지역 주민들과의 신뢰를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를 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 기업, 연구기관이 협력해 보다 정밀한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도출하는데 있어 오늘 포럼에서 논의될 다양한 의견들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가 확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