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농협금융 이찬우 ‘포트폴리오’, 농협은행 강태영 ‘체질 개선’ 과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16 16:07

충당금 줄며 농협금융-은행 순익↑
그룹 비은행 비중 높여 지속가능 기반 목표

은행, 이자·수수료익 줄고 건전성 악화
이자익 위축 속 ‘비이자익 성장’ 통로 찾아야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강태영 NH농협은행장.

NH농협금융지주가 지난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충당금이 크게 줄었고 비이자이익이 성장하며 순이익이 개선됐다. 단 핵심 계열사인 NH농협은행은 성장이 주춤했고 수익성과 건전성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부터는 이찬우 농협금융지주 회장과 강태영 NH농협은행장이 새로 바통을 이어받아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을 이끈다. 농협금융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르게 확장하고 농협은행의 체질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농협금융, 충당금 줄고 비이자익 개선…은행, 수익성·건전성↓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금융은 지난해 2조453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직전년도 대비 11.4%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 실적이다. 농업지원사업비 부담 전 순이익은 2조8836억원으로 3조원에 육박한다.


농협금융은 지난해 충당금 적립 규모가 크게 줄어 순이익 상승으로 이어졌다. 선제적 충당금 추가 적립 영향으로 지난해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1조2248억원)은 전년(2조1018억원)보다 41.7%나 줄었다. 이자이익(8조4972억원)이 0.1% 감소하며 주춤했던 가운데 비이자이익(1조7991억원)이 6.7%, 기타영업이익(5763억원)이 36.4% 성장하며 이자이익의 부진을 만회했다.


그룹 영업이익은 4조5092억원으로 전년 대비 18.5% 상승했다. 하지만 NH농협은행의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보상 충당 부채가 반영돼 그룹의 기타영업외이익이 손실로 전환된 것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농협금융의 기타영업외이익은 -1655억원로, 전년(411억원) 대비 502.9% 감소했다. 농업지원사업비(6111억원)도 24%, 법인세비용(9044억원)도 7.1% 커지며 비용 증가로 작용했다.




농협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1조80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소폭 늘었다. 농협은행 또한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9696억원)이 전년 대비 42.4%나 줄어드며 순이익이 개선됐다.


단 실제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 지표는 부진했다. 이자이익(7조6579억원)과 수수료이익(7454억원), 기타영업손익(-5333억원)이 전년 대비 1.3%, 0.3%, 9.3% 모두 감소했다. 홍콩 ELS 사태에 기타영업외이익(-3052억원)의 손실 폭도 전년(-448억원) 대비 더 커졌다. 농협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이익률(ROA)도 전년 대비 0.4%p, 0.01%p 모두 낮아진 7.6%, 0.44%를 각각 기록했다.


건전성 지표도 악화됐다. 연체율은 0.56%로 전년 대비 0.13%p 높아졌다. 무수익여신(1조1949억원)과 고정이하여신(NPL·1조6314억원)은 전년 대비 55.5%, 47.3% 각각 늘었고, NPL비율(0.51%)은 0.14%p 더 높아졌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같은 기간 282.27%에서 214.51%로 67.76%p 감소했다.



그룹, 지속가능 손익 강화…은행, 기초체력 개선해야

NH농협금융지주.

▲NH농협금융지주.

농협금융이 역대 최대 실적 기록을 세운 만큼 올해 취임한 이찬우 회장은 이를 이어가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특히 이 회장은 지난 2월 취임사에서 “이자수익 등 전통적인 수익원을 통한 성장이 점차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며 “계열사별로 핵심 역량을 강화해 농협금융의 지속가능한 손익 기반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 중심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비은행 계열사의 성장 통로를 찾아야 한다는 주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농협금융의 순이익 중 비은행 부문의 기여도는 31.9%로 전년(27.7%) 대비 더 높아졌다. 금융지주사별 비중으로 보면 KB금융지주(40%)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지만, 균형잡힌 포트폴리오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비은행 비중이 더 확대돼야 지속가능성이 강화된다.


강태영 신임 농협은행장은 지난해 농협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 지표가 모두 악화돼 기초체력을 다져야 한다는 숙제가 부여됐다. 농협은행의 경우 충당금 부담이 줄지 않았다면 역성장 할 수도 있었기에 핵심 이익인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고른 성장에 주력해야 한다.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예정된 상황에서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되고 있다. 지난해 말 농협은행 NIM은 1.74%로 전년 대비 0.9%p 하락했다. 이 가운데 여신·외환 수수료를 제외한 신탁, 대행업무 수수료와 유가증권·외환파생 수익까지 모두 줄어들며 비이자이익도 힘을 내지 못했다.


여기에 주택담보대출 중심의 가계대출 확대가 제한돼 부실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대출 자산을 늘려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다. 앞서 강태영 행장은 지난 1월 취임사에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해 위기상황별 시나리오를 수립·관리하며 변동성 확대와 잠재적 부실가능성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했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생존과 직결되는 인구 구조 변화, 기후 변화, 디지털 기술 혁신 등 3대 메가트렌드에 대해 대응해 나가는 한편, 대내외 경제 환경 불확실성, 국제적인 규제 환경 변화,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출현 등에 따른 위험을 면밀히 관리할 수 있는 역량과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