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쓰오일의 설비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급등으로 대체제인 석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국내 정유사가 반사이익을 기대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지난해 롤러코스터 수준의 업황 변동으로 수익성이 반토막 난 국내 정유사들이 올해 반등을 노리고 있다.
◇정유 4사, 지난해 매출액 늘었지만 영업이익 반토막
18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 4사의 지난해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정유 4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680억원에 불과해 지난 2023년 4466억원 대비 62.4% 줄었다. 같은 기간 합산 매출액이 15조9993억원에서 16조4545억원으로 2.8% 늘었지만 수익성 악화를 피하지 못했다.
이는 지난해 롤러코스터 수준의 업황 변동으로 인해 정제마진이 크게 악화된 탓이다. 실제 정유업황은 지난해 1분기 상당히 좋은 수준이었으나 2분기부터 악화되기 시작했으며, 3분기에는 정유 4사 대부분이 적자를 기록할 만큼 최악의 상황에 놓였다.
그러나 4분기에는 다소 수익성이 개선돼 정유사의 영업이익도 흑자로 전환되는 등 롤러코스터 수준의 흐름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경기 위축이 2~3분기에 극도로 심화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는 지난해 4분기 실적 개선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 업황이 다소 좋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글로벌 전반적으로 정유 설비 신·증설 규모가 크지 않기에 정제마진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유준위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국내 정유사들의 매출이 전년 대비 감소하겠지만,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며 “재무안정성 측면에서 운전자본부담이 크지 않을 전망이고, 투자 및 배당에 소요되는 자금을 내부창출재원으로 대응하며 재무안정성을 제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LNG 가격 급등·경기 회복 겹쳐 정제마진 개선 기대
동시에 최근 LNG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체제인 석유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각국을 대상으로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를 부여하는 등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추진하자 이에 대응해 중국이 미국산 LNG에 15%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관세 부과 이후 LNG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에 따르면 미국 천연가스 선물 가격은 17일 오전 기준 MMbtu(100만 열량 단위)당 3.61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대비 132% 급등한 수준이다.
이 같이 LNG 가격이 급등하면서 그 대체제인 석유 수요가 늘어나고 정제마진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 지난 2022년 러시아·우크리아나 전쟁으로 LNG 현물 가격이 급등하자 글로벌 기업들이 발전용 연료를 LNG 대신 저유황 연료유((LSFO)로 대체했다. 이로 인해 석유 가격도 덩달아 급등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정유업계에 호재로 분석된다. 특히 미국의 대(對)러시아 제재로 중국, 인도 등에 러시아 석유 공급이 제한되면서 국내 정유사가 더욱 활동 반경이 넓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LNG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LNG 가격 상승 이외에도 지난해보다 경기가 활성화되고 있어 정제마진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