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년 공식 일정의 시작을 알린 제1차 고위관리회의(SOM1)가 지난 2월 24일부터 3월 9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됐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년 공식 일정의 시작을 알린 제1차 고위관리회의(SOM1)가지난 2월 24일부터 3월 9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됐다. 제공-경북도
이번 회의에서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올해 APEC이 집중할 핵심성과로 'AI 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제시하며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한국은 AI 기술이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국제 협력의 방향성을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위기가 아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응과 협력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같은 제안은 APEC 회원국들의 폭넓은 공감을 얻었다. 특히,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가운데, 한국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번 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국 대표단과 사무국을 포함해 약 2000명이 참석했다.
고위관리회의(3월 8~9일) 외에도 △무역투자위원회(CTI) △경제기술협력운영위원회(SCE) △예산운영위원회(BMC) △경제위원회(EC) 등 주요 위원회 및 24개의 분야별 산하회의가 함께 진행됐다.
이와 함께 APEC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도 병행 개최되며, 글로벌 경제 환경 속에서 APEC의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윤성미 APEC SOM 의장과 이지윤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은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캐나다, 싱가포르 등 주요국 고위관리들과 양자 면담을 진행했다.
각국 대표들은 올해 APEC이 내세운 핵심성과에 대한 지지와 함께,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
특히, 한국은 APEC 전·현·차기 의장국인 페루, 중국과 '트로이카 회동'을 갖고 APEC 의제의 연속성과 정책 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오는 하반기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될 경주를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선보이는 계기가 됐다.
참석자들은 경주의 역사적 분위기, 원활한 행사 운영, 대표단을 위한 편의 제공 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올해 APEC의 주요 일정은 5월 제주에서 열리는 제2차 고위관리회의와 7~8월 인천에서 개최되는 제3차 고위관리회의로 이어진다. 또한, 해양·인적자원·교육·통상 등 11개의 분야별 장관회의와 2개의 고위급 회의가 계획되어 있다.
하반기에는 APEC 정상회의를 끝으로 올해 의장국으로서의 한국의 역할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AI 기술 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이라는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한국이 APEC에서 어떤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지 국제 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