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은지

elegance44@ekn.kr

김은지기자 기사모음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 선수촌, 친환경·안전성 강화 설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7 16:00

시설 설계 및 환경친화적 조성 계획 발표…전 세계 대학생 교류의 장으로
세종시 공공임대주택 약 2300호 선수단 숙소로 활용
“2027년 7월 초까지 모든 시설 설치공사 마무리”

이창섭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 조직위원회 부위원장

▲지난 3일 충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창섭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이 대회의 진행 상황과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김은지 기자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2027년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조직위원회는 선수촌의 설계와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직위는 오는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선수촌 부대시설 등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며, 2027년 7월 초까지 모든 시설 설치공사를 마무리해 '쾌적하고 안전한 선수촌'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중심으로 한다. 쾌적한 선수촌 기반 구축, 안전하고 스마트한 환경 제공, 그리고 원활한 소통과 서비스를 통한 편안함이다.


특히 대회가 가장 더운 시기인 8월에 열리는 점을 고려해 무더위 속에서도 휴식 공간이 쾌적하도록 각별히 신경 쓸 예정이다.


선수촌은 주거, 국제, 운영, 수송, 운동 등 총 다섯 개 기능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마다 최적의 환경에서 선수들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설을 확충한다. 동시에 세계 각국의 대학생들이 다양한 문화 교류와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전시·오락·편익 공간도 마련될 예정이다.




선수촌

▲세종시 5-1생활권 선수촌 배치도. 제공=2027년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 조직위원

주요 기능 구역에는 숙소와 대표선수단 사무실 등의 주거구역, 종합진료소 및 플래그플라자가 포함된 국제구역이 있으며, 환영센터와 관리센터로 구성된 운영구역도 존재한다. 이 외에도 FISU 전용지구가 포함된 수송구역과 조깅트랙이 설치될 운동구역 등이 배치된다.


조직위는 대회 종료 후 대부분의 부대시설물을 철거하면서 재활용 가능한 이동식 재료를 사용해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탄소중립 선수촌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창섭 조직위 부위원장은 “이번 종합계획은 보다 합리적으로 선수촌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고 말하며, “무더운 여름에도 쾌적하고 안전한 선수촌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선수촌은 단순히 훈련과 휴식을 넘어 전 세계 대학생들의 교류와 화합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시 공공임대주택 약 2300호는 세계 각국에서 온 만여 명의 선수단 숙소로 활용될 예정이다. 대회 종료 후에는 모든 시설물이 원상복구되어 관계기관에 인계된다.


이 조직위 부위원장은 공식 명칭은 '2027 세계 대학 경기 대회'로 정해졌으나 익숙한 브랜드 인지도를 고려해 국내에서는 '유니버시아드 대회'라는 이름으로 홍보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선수들을 위한 비즈니스 투 비즈니스(B2B) 방식의 패키지 프로그램 개발도 추진된다고 밝혔다.


2027년 8월 1일부터 시작되는 이번 대회는 충청권 내 대전, 세종, 충북 및 충남 지역에서 공동 개최되며 약 150개국에서 온 약 만 오천 명의 선수단과 임원이 참가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