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위협으로 전 세계 경제에 '대공황' 수준의 침체 가능성을 불러오며 국내에서도 주가가 급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를 넘보는 등 금융시장이 최악의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 부동산 시장에까지 악영향이 확산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인 만큼 무역전쟁과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장기화되면 교역 규모가 줄어들 수밖에 없어 시장 침체가 불가피하다. 고공행진 중인 환율도 금리, 유가, 원자재 등에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시장에 연쇄적 반응을 일으켜 부동산 시장도 그 여파를 비껴가기 어려울 거라는 분석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히면서 미국 증시는 일시적으로 반등했다. 그러나 지정학적 불안과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 인플레이션 고착화 우려 등으로 인해 미국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국내 부동산 시장까지 파고가 밀려 오고 있다. 과거 코로나19 사태 때까지만 해도 저금리 기조와 원활한 유동성 공급 덕에 국내 주식시장과 벤처투자, 부동산 시장이 동반 상승세를 보였으나, 현재는 이들 세 시장 모두가 침체 국면에 접어들며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지방 부동산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난 2월 기준 준공 이후에도 분양이 되지 않은 미분양 주택은 2만 3722가구에 달한다. 이는 2013년 10월(2만 4667가구) 이후 11년 4개월 만에 최대치이다. 경기 침체와 맞물려 상업용 부동산의 공실률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상급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동산에는 자금 유입 가능성이 낮아져 조만간 급매물이 늘어나고 집값 하락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만일 장기화되면 최근 20년새 최악이었던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보다도 더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당시 국내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008년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2.47% 하락했으며, 서울 지역은 3.56%나 떨어진 바 있다. 특히 강남권은 -10% 이상 급락하며, 전세금이 매매가를 웃도는 '역전세난'까지 겪었다. 이 시기에는 전문 금융 컨설턴트들도 주식 및 펀드 투자 비중을 늘리는 대신, 부동산 투자에 대해서는 관망하거나 비중을 축소하는 분위기였다.
더욱이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 철근과 콘크리트 등 주요 자재의 수입단가가 상승하면 건설사의 원가 압박이 커지고, 이로 인해 향후 분양가도 인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건설업의 전체 수입의존도는 3.4%로 낮은 편이지만, 공사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철근·봉강 등의 자재는 수입 비중이 15%에 달해 환율 급등이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실제로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월에 8.6%, 2월에는 6.9% 상승했다. 환율이 추가로 오르게 되면, 금융당국이 계획했던 기준금리 인하도 어렵게 돼 매수 심리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현 상황이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직격탄을 주기보다는 자산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것이 문제"라며 “증시와 환율이 롤러코스터를 타듯이 하루에도 10%씩 급등락하며 사이드카가 걸리는 등 시장 불안정성이 커진 게 물가와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쳐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로 인해 수요자들은 큰돈을 들여 무언가를 하기가 불안해져 매수세가 둔화되고 거래는 소강상태에 접어들며, 공급자 역시 공급을 이연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