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 미시간주 현지시각 10일 오후 미시간대 포드스쿨에서 스티븐 비건 前 국무부 부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訪美 중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현지 시각 10일 오후 스티브 비건 전 트럼프 정부(1기) 대북특별대표를 만나 트럼프 관세 폭탄 등 최근 한미 간의 현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고 해결책을 모색했다.
이날 비건 전 대표는 김 지사를 만나자마자 “대북정책 특별대표 시절에 한국의 경제부총리가 미시간대 출신이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말씀만 많이 듣다가 여기서 뵙게돼 반갑다"면서 “대선 출마 소식을 들었다. 축하하고 행운을 빈다"고 말했다.
비건 전 대표는 조셉 윤(현 주한미국대사 대리)에 이어 트럼프 1기 정부의 대북정책 특별대표로 임명돼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2019년 1월 북한 최선희 외무부 부상과 스웨덴에서 '합숙담판'을 벌였던 북핵 협상가로 이후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한 트럼프 1기 정부 외교라인의 핵심인사다.
특히 비건 전 대표는 김 지사와 인연이 끈끈하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국무부 부장관으로 활동할 당시 우리나라는 문재인 정부 시절이었고 김 지사는 경제부총리로 트럼프 1기 정부 인사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태생인 비건 전 대표는 김 지사와 미시간대 동문으로 이에따라 회담 장소도 미시간대 포드스쿨 5층 강의실에서 진행됐다.
김 지사와 비건 전 대표이 이번 만남은 친분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차원은 아니다. 비건 전 대표는 트럼프 1기 정부에 합류하기전 미시간주에 소재한 완성차 포드에서 약 15년(2005~2018)가 수석부사장으로 근무했으며 이 자리는 포드의 무역전략 및 정치적 리스크 등을 평가 감독하는 자리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 1기 핵심인사였던만큼 관세 문제에 대한 전략적 조언을 구하기 위한 것이 만남의 목적이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자동차 산업은 미시간주와 경기도 모두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분야“라면서 관세문제를 돌파해나가기 위한 의견을 물었으며 비건 전 대표는 이에대해 “지난 10년간 한국은 미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국가 중 하나로 여전히 협상의 여지는 남아 있다"고 예상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 미시간주 현지시각 10일 오후 미시간대 포드스쿨에서 스티븐 비건 前 국무부 부장관과 면담을 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그는 그러면서“어느 정도는 한국 제조업체들이 이미 미국 자동차 산업의 일부가 되는 데 성공했다"면서 “현대자동차가 조지아주에서 차를 생산할 때, 그것은 사실상 미국산 자동차다. 이는 (관세를 낮추는데) 매우 설득력 있는 포인트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회담 도중 김 지사가 회담 직전 일정이었던 휘트머 주지사와의 회동 결과를 설명했고 비건 전 특별대표는 “경기도지사와 미시간 주지사가 같이 협력한다면 세계 10대 자동차 기업들 중에 아마 톱 5 기업들의 의견을 하나로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휘트머 주지사는 2028년 미 대선 유력후보란 표현이 최근 워싱턴포스트 기사에 등장할 정도로 정가에 적지않은 영향력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북핵 관련 대화도 있었다.
김 지사는 “북한과의 관계가 굉장히 어려운데 현재 상황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하시느냐"고 물었고 비건 전 대표는 “김정은이 한국에 새정부가 들어서도 한국 정부와 소통 하려고 할지 의문"이라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갈등에 변화 국면이 있어야 북한도 움직일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은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협상이 곧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북한이 비핵화를 전제로 협상을 할지는 의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미시간대 회동을 끝으로 김 지사는 이틀간의 미국 방문 일정을 마무리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48시간' 동안의 닽ㄴ기피마의 숨가쁜 관세외교를 마치고 12일(한국시간) 오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