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형준 부산시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6일 오전 부산 부산항만공사에서 회동을 가졌다.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박형준 부산시장은 16일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은 대체할 수 없는 법안이다"이라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열린 '부산 글로벌허브시대, 특별법이 답이다' 토론회에서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에 대해 국민의힘은 물론이고 민주당 의원들도 반대하는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와 함께 “지역의 혁신 거점을 곳곳에 만들어서 대한민국이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일환으로 부산시민 160만명이 서명해 올려놓은 법안을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법안을 왜 통과를 안 시키는지 어느 누구도 설명해 주지 않는다"며 “이유라도 알아야 할 텐데, 이유가 없다"고 했다.
이성권 의원 역시 박 시장의 발언에 동조했다. 그는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은 이미 160만 부산 시민의 서명이 국회에 전달 됐고, 중요성 또한 수차례 확인된 법이다"며 “그런데도 입법공청회 한번 열리지 못하는 현실은 부산을 무시하는 민주당의 민낯이다"고 비판했다.
최근 민주당이 거론하는 북극항로 개척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이 의원은 “최근 민주당에서 거론하는 북극항로, 부산자유도시는, 이미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에 실행 전략이 담겨있다"고 지적했다.
또 “말로만 비전을 얘기하는 것은 부산 시민을 혼란스럽게 만들 뿐이며, 본질을 피하려는 정치적 물타기"이라며 민주당의 특별법 제정 동참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달 부산을 방문해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보다는 북극항로 개척을 우선적 과제로 초점을 둔 이재명 전 대표의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당시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제정을 시정 최우선 과제로 내세우는 박 시장도 “부산 시민을 냉대하는 것"이라며 강한 불편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부터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며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 천막농성을 벌이기도 한 바 있다.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은 부산을 △국제물류특구 △금융특구 △문화자유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담고 있다. 또 각종 규제특례와 재정·행정 지원을 통해 산업 고도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이성권 의원과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양재생), 한국국제물류협회(회장 원제철), 부산광역시관광협회(회장 이태섭)가 공동주최한 이번 토론회에는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실장이 '부산의 글로벌 허브도시화 및 추진 전략'을 △우종균 동명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가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화를 위한 부산의 혁신 전략'을 △강석환 부산광역시관광협회 부회장이 '글로벌 관광 중심도시로서의 부산 추진 전략'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이경덕 부산광역시 기획관이 '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이어야 하는가'를 △이명호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이 '글로벌 금융도시 부산을 위한 제언'을 △박재율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상임대표가 '부산 시민은 왜 글로벌허브특별법을 바라는가'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