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노코리아 뉴 그랑 콜레오스. 사진=이찬우 기자
국내 완성차 업계의 실적이 소수의 차종에만 쏠리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SUV에 판매량이 크게 집중됐고 중견 3사는 단일차종이 기업을 먹여 살리고 있다.
이에 업계에선 주력 차종을 분산해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부 차종에만 의존할 경우 신차효과가 끝나거나 해당 모델에 이슈가 발생했을 때 대응이 어렵고 장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 한국지엠,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 국산차 5개사의 지난달 합산 판매량은 내수는 12만8639대, 수출은 55만9820대로 총 68만8778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내수(11만8978대)가 8.1%, 수출(55만3076대) 1.21% 증가한 것으로 총 판매량(67만2505대)은 2.4% 성장했다.
겉으로 보기엔 불경기에도 이뤄낸 성장세지만 가까이서 보면 그렇지 않다. 각 브랜드마다 '베스트셀러'는 항상 존재하지만 국내 완성차 기업들은 그 쏠림 현상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RV 쏠림 현상 심화 중
기아는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등 RV(레저용 차량) 판매량이 전체 내수의 70%에 달했다.
이들의 활약으로 전체 판매가 전년 대비 5% 성장한 점은 긍정적이지만 K8, K5 등 세단모델과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현대차는 그나마 양호하다. 팰리세이드(6662대)와 싼타페(6354대)의 판매량과 아반떼(7099대), 그랜저(6080대)의 판매량이 비슷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들은 전기차쪽에서 부진했고, 최근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의 등장으로 추후 RV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중견 3사, 신차효과에 기업 명운 걸려
가장 불안한 곳은 '신차 의존도'가 매우 높은 중견 3사다. 르노코리아는 그랑 콜레오스가 내수 판매의 83.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의존도를 보였다.
한국지엠은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국내 판매 1326대 중 1079대로 약 81%를 점유했다. 글로벌 판매로 살펴봐도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66.6%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된다.
KG모빌리티는 3사 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이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무쏘 스포츠, 무쏘 EV가 내수 판매량을 균등하게 가져가며 분산된 모습을 보이지만, 이들 세 모델 외에는 유의미한 판매 모델이 거의 없다는 점이 여전히 불안 요소로 꼽힌다.
신차 의존도 높을수록 리스크도 증가
이처럼 국내 모든 완성차 기업들의 실적이 주력 차종에만 쏠리고 있는데, 이는 현대차그룹부터 중견3사까지 국내 완성차 업계 전반에 리스크로 작용될 우려가 크다.
우선 신차효과는 매우 단기적이다. 신차 출시 직후에는 대기 수요와 마케팅 효과로 판매량이 급증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된다. 주력 차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해당 모델의 수요 감소나 경쟁 신차 등장 시 브랜드 전체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불어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친환경차 전환, 중국·신흥국 브랜드의 약진, 고금리·고물가 등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 가운데 판매 실적이 소수의 주력 차종에 쏠릴 경우,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만약 주력 차종에서 품질 결함이나 리콜 등 이슈가 발생할 경우 국내뿐 아니라 미국·유럽 등 해외 시장 전체 실적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글로벌 톱2, 韓 기업 대비 차종 분산율 높아
반면 현대차그룹보다 판매량이 많은 토요타, 폭스바겐그룹의 경우 차종 분산율이 비교적 높다. 토요타는 RAV4, 코롤라, 캠리, 하이랜더, 타코마 등 다양한 차종이 글로벌 베스트셀러 상위권에 고르게 포진됐다.
2025년 기준 토요타는 30여종 이상의 전동화 모델을 운영하고 있고 미국 시장에서도 다양한 세그먼트의 점유율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바겐그룹 역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 스코다, 세아트 등 다양한 브랜드를 통해 수십 종의 차종을 운영하고 있다. 독일, 유럽,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골프, 티구안, T-Roc, 파사트, ID.4 등 여러 모델이 고르게 팔리며, 한 차종이 그룹 전체 판매의 20%를 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신차 한방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국산차 산업 전체가 글로벌 위기 앞에 흔들릴 수 있다"며 “단일 차종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포트폴리오 다각화, 친환경차 경쟁력 강화, 협력업체와의 동반 성장 전략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