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탄 포레파크 자연& 푸르지오 투시도. 사진=대우건설
올해 들어 서울과 수도권에서 분양을 시작한 주요 대단지들이 잇따라 청약 흥행에 성공하며 지역간 분양시장 양극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에 청약 수요가 집중된 데다 공급 물량도 줄어들며 이른바 '완판' 행진이 이어진 반면, 지방은 절반 이상이 2순위 청약까지도 모집 가구를 채우지 못하며 '악성 미분양'만 늘어나는 모습이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에 들어서는 '동탄 포레파크 자연&푸르지오'는 전날 1순위 청약에서 일반공급 634가구(특별공급 제외)에 총 4만3547명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68.7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전용 142㎡P 주택형은 단 3가구 모집에 853명이 청약을 접수해 경쟁률이 최고 284.3대 1 수준이었다.
같은 날 청약을 진행한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도 218가구 모집에 2408건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 11.04대 1로 마감됐다. 서울 대단지라 주목받은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는 일반공급 262가구에 3543명이 신청해 평균 13.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분양은 '똘똘한 한 채'와 물량 부족에 힘입어 대체로 흥행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0만4032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6.9% 감소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아파트 분양이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을 정도이다.
건설경기 위축과 조기 대선으로 정비사업 일정이 잇따라 지연된 것도 공급 위축에 영향을 줬다. GS건설은 당초 올해 예정됐던 '방배 포레스트자이'(방배13구역 재개발) 분양을 내년 하반기로 미뤘다. DL이앤씨도 '아크로리버스카이'(노량진8구역 재개발)의 분양을 6개월 이상 연기한 상태다.
물론 예외도 있다. 최근 분양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단지는 1630가구 모집에 634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 0.38대 1에 그쳤다. '힐스테이트 용인 마크밸리'도 599가구에 278명이 접수하며 0.46대 1의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방은 올해 분양된 아파트의 절반가량이 2순위까지도 마감에 실패하며 청약 시장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지난 2월 분양한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는 342세대 모집에 181세대가 미달돼 경쟁률이 0.66대 1에 머물렀고, 3월 청약 접수를 받은 대구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는 총 151가구 중 128세대가 남았다.
최근 선보인 부산 '에코델타시티 중흥 S-클래스 에듀리버'는 1·2순위 통합 청약에서도 674가구 모집에 329건 접수에 그쳤다. 이 같은 지방 아파트 비선호로 인해 3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5.9% 증가한 2만5117가구에 달했다. 이중 지방 비중은 전체의 81.8%인 2만543가구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의 지역 차등 적용 역시 양극화 해소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시장 추가 위축을 방지하는 효과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대출 금리에 붙는 스트레스 금리를 1.5%로 늘릴 계획이나, 비수도권 지역 주택담보대출에 한해서는 올해 말까지 2단계 수준의 스트레스 금리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차등금리 적용은 지방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치이나 시장 수요에 영향을 미치려면 수요자들이 집을 살 생각을 가지게 만들 정도로 강한 조치여야 한다"며 “차등금리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적용되면 평가가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재까지 언급된 정책만으로는 단기적 시장수요에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분양시장은 관망세로 접어든 지 오래"라며 “이번 대선은 이례적으로 부동산 관련 공약이 많지 않지만, 경기 부양을 위해 건설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세제 완화 등 후속 대책이 뒤따르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