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3월 출생아 10년만에 증가세 전환…1분기 합계출산율 0.8명대 회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28 12:20

통계청, 2025년 3월 인구동향 발표…출생아 2만1041명 전년 比 6.8%↑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3월 출생아 수가 2만1041명으로 늘어나면서 10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혼인건수도 6년 만에 최대치로 올라서는 등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1분기 합계출산율은 0.8명대를 회복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3월 출생아는 2만1041명으로 1년 전보다 1347명(6.8%) 증가했다.


3월 기준으로 출생아가 전년보다 늘어난 것은 지난 2015년 이후 10년만에 처음이다. 월별 출생아 수는 작년 7월부터 9개월째 증가세다. 3월 증가율 기준으로는 1993년 8.9%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3월 합계출산율은 0.77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04명 늘었지만 여전히 통계적으로 부부가 평생 낳는 아이 수는 1명에 미치지 못했다.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455명(7.4%) 늘었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고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198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이다.


1분기 합계출산율은 0.82명으로 0.05명 늘었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2023년 1분기(0.82명)와 같은 수준이다. 주로 30대를 중심으로 출산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를 보면 첫째아와 둘째아는 각각 0.4%포인트(p), 0.1%p 상승했고 셋째아 이상은 0.5%p 하락했다.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에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뚜렷한 혼인 증가세가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비혼 출산보다 기혼 출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한국에서는 혼인이 늘면 출산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3월 혼인 건수는 1만9181건으로 1년 전보다 1983건(11.5%) 늘었다. 월별 혼인 건수는 작년 4월부터 12개월 연속 늘고 있다.


1분기 혼인 건수는 4554건(8.4%) 늘어난 5만8704건이었다. 1분기 기준으로 2019년(5만9074건)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다.


30대 초반 인구 증가,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에 더해 혼인을 장려하는 정책도 일부 효과를 낸 결과로 분석된다.


3월 사망자 수는 3만1141명으로 1년 전보다 47명(0.2%) 증가했다. 1분기 사망자 수는 7529명(8.1%) 늘어난 10만896명이었다.


고령 인구가 늘면서 사망자도 추세적으로 늘어나는 모습이다.


3월 이혼 건수는 7210건으로 239건(3.2%) 줄었다. 1분기 이혼 건수는 2만1479건으로 1263건(5.6%) 감소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3월 인구는 1만100명, 1분기 기준으로는 3만5874명 자연 감소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