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오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긴급 폭염대책 상황 점검 회의'에서 서울시 3부시장(행정1·2, 정무)을 비롯한 재난안전실장, 소방재난본부장, 복지실장, 교통실장 등 12개 실·국장이 참석해 폭염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역대급 폭염이 이어지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해외 출장 중 긴급 지시를 내리고 서울시 전 부서에 현장 중심의 특단 대응을 지시했다.
시는 9일 오전 시청 기획상황실에서 '폭염 대책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복지·소방·교통 등 관련 12개 실·국과 함께 폭염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회의는 오 시장이 해외 출장 중 직접 행정1·2부시장에게 전화를 걸어 “취약계층 피해가 없도록 가용 수단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하면서 긴급 소집됐다.
시는 폭염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으며, 폭염 종합지원상황실도 1단계에서 2단계로 올렸다.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지난 8일 37.8도를 기록하며, 1907년 기상관측 이래 7월 초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시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7월 7일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85명이며, 이 중 1명이 숨졌다. 시는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70여 곳과 협조해 온열환자 발생 시 119구급대를 통해 신속 이송·치료가 이뤄지도록 감시체계를 강화했다. 현재 서울에선 '119폭염구급대' 161개 대와 소방펌프차 기반의 '펌뷸런스' 119개 대가 운영 중이다.
특히 시는 노숙인, 장애인, 폐지수집 어르신, 쪽방 주민 등 폭염에 취약한 계층에 밀착 지원을 펼치고 있다. 노숙인 밀집 지역엔 '혹서기 응급구호반' 52개 조를 배치해 하루 4회 이상 순찰하며 쉼터 안내, 병원 연계, 음료 제공 등을 진행하고 있다. 쪽방촌 7곳엔 무더위쉼터, 밤더위대피소 6곳도 운영 중이며, 활동량 감지기 등을 활용한 독거 장애인 응급 감지 체계도 가동 중이다.
저소득·주거 취약계층 389가구에 선풍기·쿨매트 등 냉방용품을 긴급 지원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약 39만 가구엔 가구당 5만 원씩의 냉방비를 지원한다. 복지시설 843곳에도 규모별로 별도 냉방비가 지급될 예정이다. 탑골공원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아리수 냉장고가 설치돼 하루 1000병의 냉장 생수가 제공된다.
건설현장 노동자에 대한 안전 조치도 강화된다. 서울시 중대재해감시단은 7~8월 중 시내 공공 및 민간 공사장 300여 곳을 점검해 '온열질환 예방 5대 수칙' 이행 여부를 확인하고, 위반 사항은 고용노동부에 통보해 작업 중지 등 행정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다국어 홍보물과 현수막도 제작·배포된다.
도심 온도 저감을 위한 도로 살수도 확대된다. 25개 자치구에 민간 살수차 운영을 위한 재난관리기금 12억4000만 원이 긴급 지원됐으며, '쿨링로드', '쿨루프(옥상 반사 도료)' 등도 확대 추진 중이다.
오 시장은 “폭염은 시민 생명을 위협하는 재난"이라며 “특히 야외 근로자와 취약계층을 더욱 세심하게 살피고, 시민이 생활 속에서 안전하게 폭염을 피할 수 있도록 한치의 소홀함도 없이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