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10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됐다고 밝혔다.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앞으로 부산·울산·경남 광역철도가 들어서면서 1시간 생활권이 열린다.
부산시는 10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부울경을 1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철도 기반의 안정적인 광역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노포역 일원을 활성화하고, 금정구와 기장을 비롯한 동북부 일대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며, 양산과 울산으로 향하는 부산 전역 시민들의 출퇴근과 통학, 이동을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했다.
또 “이번 광역철도는 부산 전체의 발전을 앞당기는 것은 물론, 지역산업과 물류, 주거지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활성화해 지방 균형발전을 견인할 것"이라며 부산을 중심으로 한 국가 남부권이 수도권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가 성장축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환승할 수 있는 거점으로써 기능도 기대된다. 시가 추진 중인 '북부산 노포역 일원 종합개발' 계획과 함께, 낙후된 노포역 일원을 부울경 초광역경제권의 새로운 핵심 거점으로 자리 잡는다.
또 이번 광역철도 정거장이 될 노포역은 부산도시철도 1호선, 양산선과 환승을 통해 부산과 경남, 울산을 직접 연결하고, 정관선에서 동부산으로 이어져 동해선으로 연결된다.
또 기장군 정관읍 주민의 숙원사업인 도시철도 '정관선'과 월평에서 연계돼, 현재 계획 단계인 '정관선' 건설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총연장 47.6㎞(부산 8.9㎞) 규모로, 노포역에서 케이티엑스(KTX)울산역까지 약 45분(35회/일)만에 이동 가능하며, 경전철(AGT-철제차륜) 차량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부울경 핵심축인 부산(노포)~양산(웅상)~울산(KTX울산역)을 총 11개 정거장(부산 2개)으로 연결하며 총사업비는 약 2조 5475억 원 규모다.
부산도시철도 1호선(노포역), 정관선, 양산선, 울산1호선 등 단절된 4개의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올해 안에 국토교통부가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용역을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국가철도공단, 중앙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측량과 지반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재해영향성검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노선과 역사 위치 등이 결정된다.
이후 총사업비를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최종 확정하며,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착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