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상반기 기세 몰아 ‘대세 굳히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1 11:05

지난달 글로벌 누적 매출 8000만달러 돌파
흥행 비결로 ‘밀착 소통·콘텐츠 강화’ 꼽혀
하반기도 대규모 업데이트·소통 행보 예정
실적 안정성 상승 전망…PLC 확장이 관건

ㅁㅁㅁㅁ

▲넷마블의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 대표 트레일러.

출시 50일을 앞둔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약칭 '세나리')가 이용자 소통 강화에 나섰다.


지난 5월 출시 이후 글로벌 누적 매출 8000만달러(한화 1100억원)를 돌파한 가운데 밀착행보로 '기세 굳히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센서타워에 따르면, 세나리는 지난 6월 기준 글로벌 누적 매출 8000만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월 15일 정식 출시 당일 구글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합산 매출에서 한국 모바일게임 1위에 올랐고, 이후 21일 연속으로 1위를 유지했다.


양대 앱 마켓 통합 누적 다운로드 150만건을 넘어선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모바일인덱스 기준 이달에도 양대 앱마켓(구글플레이·애플스토어)에서 2~3위를 기록 중이다.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원작 '세븐나이츠'의 정수를 계승하면서도 한층 더 정교해진 전략성·편의성을 내세우며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 시장에 다시 도전장을 내민 리메이크작이다. 단순히 캐릭터를 수집, 성장시키는 재미를 넘어 각종 전투 콘텐츠에서 요구되는 전략적 판단이 핵심이다.




흥행 비결로는 지속적인 소통 행보와 콘텐츠 업데이트가 꼽힌다.


넷마블은 게임 출시 전부터 오프라인 유저 쇼케이스 '시식회', '프리뷰 데이'를 개최하는 등 밀착 소통으로 눈길을 끈 바 있다. 이후 실제로 열쇠 수급 완화 등 이용자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면서 호평을 받았다.


지난 8일 진행된 첫 공식 개발자 라이브 방송 '세나리 커넥트'에선 '세븐나이츠의 달' 기념 대규모 콘텐츠 업데이트 세부 내용과 하반기 로드맵을 공개했다.


먼저, 첫 세나의 달을 기념해 신규 전설 영웅 2종과 더불어 △시나리오 이벤트 △길드전 △시련의 탑 △코스튬 △의상실 등 신규 콘텐츠를 대거 선보인다.


하반기 로드맵으로는 △매월 메인 스토리 업데이트 △레이드 확장 △길드 원정대 △월드 레이드 업데이트 계획이 공개됐다. 오는 11월 게임 서비스 6개월을 기념하는 '하프 애니버서리'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ㅁㅁㅁ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개발팀이 지난 8일 진행된 개발자 라이브 방송 '세나리 커넥트'에서 하반기 업데이트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아울러 이용자 편의성 개선을 위해 △장비 자동 판매와 강화 보정 시스템 △스킬 효과 표시 기능을 추가할 방침이다. 아울러 이용자들의 건의사항을 반영해 △재화 소모처 개선 △전설 장신구 획득 기회 추가 △소탕 기능 도입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개발팀은 특히 이용자와의 투명한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개발자 노트를 통해 “그동안 부족했던 소통을 다시 회복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이용자와 직접 대화하며 신뢰를 쌓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용자 질의응답 시간엔 △정기적인 라이브 방송 진행 △개발 상황 공유 등 투명한 소통을 약속했다. 특히, 개발팀이 질문에 대해 불만족스럽게 답변할 경우 머리 위에 쟁반이 떨어지는 등 재미 요소를 더해 눈길을 끌었다.


넷마블 관계자는 “이용자 소통은 게임 서비스 핵심“이라며 "모든 이용자와의 거리를 좁히고 적극적인 소통을 이어가는 것을 우선 목표로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선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하반기 실적 안정성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3~4분기 사이 출시될 신작 6종이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 가면서, 상반기 출시작들의 흥행 성과가 실적 기반을 탄탄히 다져 올해 실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당초 시장 기대치를 넘는 성과를 거둔 영향으로 2분기 실적은 증권가 전망치(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히 매출에 기여해 제품수명주기(PLC) 확장에 성공한다면, 향후 실적 성장에 대한 안정감이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