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라부부 거품 붕괴 임박”…팝마트 주가, 약세장 탈출 어려워지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16 12:06
ALIBABA-LIVESHOPPING/LABUBU

▲(사진=로이터/연합)

전 세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중국 인형 캐릭터 '라부부' 열풍이 빠르게 식어가자 이를 제조·유통하는 업체 팝마트 주가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의 멜린다 후 선임 애널리스트는 최근 보고서를 내고 “뾰족한 이빨이 튀어나온 라부부 인형의 열기가 고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팝마트 실적을 견인시킬 요인들에 대한 의구심은 주가의 상승 여력을 제한시킨다"고 적었다.


이어 “라부부 인기에 불을 붙인 희소성, 수집 경쟁, 도파민 반응, 중고 거래 시장의 과열 등은 과거 1990년대 비니 베이비 버블 당시와 매우 유사하다"며 “(팝마트의) 근본적인 사업 전략 변화 없이 장기 투자자들이 주식을 추가 매수하는 것은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과거 미국에서 폭발적 인기를 끈 비니 베이비는 희소성 마케팅, 단종 전략, 수집 경쟁, 중고 가격 급등이 맞물리며 인형의 가치가 급등했던 버블 사례다. 그러나 투기 수요가 꺼지자 1999년 가격이 순식간에 붕괴했고, 대부분 제품이 사실상 무가치가 됐다.


후 애널리스트는 팝마트 주식에 '언더퍼폼'(평균 수익률 하회) 의견을 낸 유일한 전문가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결과 팝마트 주식을 담당하는 46명의 애널리스트 중 42명은 '매수'와 비슷한 의견을 냈고 3명은 '보유'를 권장했다.


번스타인의 이같은 의견은 팝마트 주가가 지난 8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지금까지 30% 이상 폭락해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한 이후 나왔다.




팝마트는 캐릭터 상품을 소비자가 열어보기 전에 알 수 없는 '블라인드 박스' 형태로 판매한다. 특히 라부부는 독특한 감성으로 전 세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블랙핑크 리사, 리한나, 데이비드 베컴 등 글로벌 스타들이 라부부를 공개하면서 인기가 가속화했다.


그 결과 팝마트 주가는 작년 초부터 지난 8월까지 1500% 폭등했다. 8월 26일엔 335.40 홍콩달러에 거래를 마감하면서 종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5

▲지난 6개월간 팝마트 주가 추이(사진=구글)

그러나 팝마트 주가가 지나치게 과열됐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9월부터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후 애널리스트가 지난달 16일 팝마트에 대해 처음으로 '언더퍼폼' 의견을 내놓자 주가는 더욱 곤두박질치면서 지난 14일엔 216.40 홍콩달러까지 미끄러졌다. 이는 최고점 대비 35% 가량 폭락한 수준이다.


라부부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 문제가 투자자 불안을 키우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라부부가 포함된 '몬스터즈' 시리즈는 올 상반기 전체 매출의 35%를 차지해, 지난해(14%) 대비 급증했다. 사실상 단일 IP(지식재산권)에 대한 매출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특히 지난달 23일 발표된 3분기 실적발표에선 내년 팝마트 성장이 둔화될 것이란 우려가 불식되지 못하자 주가가 이날 하루에만 9% 넘게 폭락했다.


이와 관련, 후 애널리스트는 “팝마트의 강세장·약세장 논쟁의 핵심은 '라부부 의존을 벗어나 다른 IP로 성장 모멘텀을 만들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된다"고 짚었다.


버언스타인은 팝마트의 연간 매출 증가율이 올해 145%로 정점을 찍은 뒤 향후에는 IP 유지 비용 및 해외 확장 마케팅 부담으로 수익성이 점진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팝마트 주가의 장기 목표를 225 홍콩달러로 제시했다.


일각에선 긍정론도 제기됐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의 케빈 인 애널리스트는 “팝마트의 또 다른 시리즈인 '트윙클 트윙클'은 라부부 대체재가 아닌, 자체 팬덤을 형성하여 성장하고 있다"며 해당 시리즈의 매출 비중이 올 상반기 2.8%에서 2027년 8%까지 늘어날 것으로 낙관했다.


그러나 후 애널리스트 이에 대해 “독립적인 팬덤 확장 증거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어 “헬로키티나 바비 인형은 희소성 마케팅이나 블라인드 박스 방식의 투기적 요소가 없다"며 “언제든 누구나 쉽게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 장기 성장의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