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안병용 기자

byahn@ekn.kr

안병용 기자기자 기사모음




한진해운-현대상선 ‘합병설’ 솔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6.05.24 16:27

'양사 합치면 글로벌 7위 선사'



국내 해운업계에서 선두를 다퉈온 글로벌 기업들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용선료 협상이라는 고비를 넘길 수 있을지 관심사다. 만일 협상 불발이 되면 양사는 법정관리가 유력하다. 여기에 또 하나의 셈법이 등장할 수 있다. 합병 가능성이다. 지난해 말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양사의 합병설은 지지부진한 용선료 협상과 해운동맹 탈퇴여부가 주목받으면서 가능성 높은 얘기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서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 가능성을 점치는 것은 해운사들의 자력 회생이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용선료 문제다. 양사는 용선료와 관련 해외 선주사들과 2008년 이전 장기계약을 했다. 문제는 운임이 2010년 대비 3분의1로 폭락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현 시세보다 5배 이상을 주면서 손해를 봤다. 업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한진해운은 1조146억 원을, 현대상선은 1조8793억 원을 각각 용선료로 지불했다. 두 회사의 매출액이 각각 7조7355억 원, 5조7685억 원이었던 점을 감안해오면 용선료 부담이 양사에 얼마나 큰 짐이 되어 왔는지 짐작된다.

양사는 용선료를 기존 대비 20~30%만 줄여도 연간 3000억 원 이상을 절감하게 된다. 연간 2000억 원에 달하는 적자를 메울 수 있게 된다는 얘기다. 관건은 성공적인 용선료 협상을 통한 구조조정 성공 여부다. 최악의 경우 양사의 용선료 협상이 불발될 경우 정부는 합병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글로벌 해운동맹에 국적선사를 잔류시키는 것은 정책의 우선순위이기 때문이다. 이수성 롤랜드버거 사울사무소 대표는 그 전에 합병을 고려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했다. 독일계 컨설팅 업체 롤랜드버거(Roland Berger Strategy Consultants)는 전 세계 36개국에 51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유럽 최대 경영전략 자문회사이다.

이수성 대표는 범정부차원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전제조건이라며 "두 회사 모두 경쟁력이 있었던 곳인 만큼 어려울 때 하나로 합치면 7위선사가 된다. 이후 유동성 위기를 공동 극복하고 글로벌 동맹에 잔류하면서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갖추면 경기회복 시점에 회생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해운동맹(alliance)에서 빠지면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만큼 회생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그럴 거면 차라리 합쳐서 덩치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는 "합병은 주주와 경영진, 채권단이 의사를 모아 정해야 될 문제"라면서 "정부 입장에서는 합병을 통해 공적자금 투입 부분들이 최소화될 수 있는지, 경제 전반에 미칠 수 있는 타격 구조조정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기업 간의 M&A 왜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박상인 교수는 "M&A에 정부가 개입하게 되면 왜곡을 주고 특혜시비가 일 수 있다"면서 "M&A시 심사 과정도 있기 때문에 정부는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했다.

이수성 대표가 언급한 양사 합병 시 7위 규모가 될 것이라는 부분에 대해 박상인 교수는 "합병해서 양사가 규모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다른 이슈"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회사 존폐 여부를 따지는 상황인데 합병해서 회사를 규모를 얘기할 입장은 아니"라면서 "기본적으로 용선료 때문에 양사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그 문제가 합병을 통해 확실하게 해결되지 않는다면 묘안이 될지 의문이다. 규모를 따지는 것은 현재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안병용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