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데이터센터 지방이전Q&A③] 기업들 "꼼꼼한 지원정책 희망" 정부 "자주 간담회 마련하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1.24 09:13
clip20230111194137

▲전국 주요 지역 계통여유 정보(345kV 변전소 기준)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데이터센터 지방 이전이 가시화되고 있다. 산업부는 지난주 설 명절을 앞두고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발표하고 관련 기업들과 지원정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아직까지는 기업들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 간의 이견이 많은 상황이다.

산업부와 한전은 계통·전력수급 부담으로 수도권에 데이터센터가 더 설립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인 반면 기업들은 여전히 수도권에 설립하길 희망하고 있다. 기업들은 지방으로 이전하게 될 경우 구체적 기준은 무엇인지, 인센티브는 얼마나 지원되는지에 대해 주로 질의했고 한전과 산업부는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해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다음은 사업자들의 주요 질의·요구와 산업부, 한전의 응답 내용.

-Q. 발전소를 지어서 전력공급하는 발전사업자 차원에서 보면 국가적 송전제약이 심각한 수준이다. 저렴한 발전을 할 수 있음에도 수도권 집중으로 송전제약으로 낭비되고 있다. 지방 이전은 꼭 돼야 한다. 산업부 차원에서 지역 데이터센터 산업 단지를 만들어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에 인프라를 갖춰주면 종합적 지원이 될 것 같다.

-A. 데이터센터 해외사례를 검토한 적이 있다. 그 중에 미국 조지아주에서는 클러스터를 만들어 데이터센터를 적극적으로 유치해 성공을 거둔 사례가 있었다.

그런 사례들을 참고하면 좋겠다. 우리 지자체에도 유사한 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전라북도는 대통령 공약에 포함된 스마트그린산단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국비로 연간 400명 정도 전문 인력양성을 하고 있다. 현재 소프트웨어 특구 지정을 위해 규제완화나 사업추진에 다양한 사례를 연구해서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지역특구 관련 다양한 지원책 마련하려고 하고 있다. 다른 정부정책과 같이 한다면 시너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Q.수자원공사는 강원도에서 수열클러스터 단지를 운영하고 있다. 수도권 외곽이라 정책취지에도 잘 맞는다. 강원 수열 클러스터에는 많은 비축토지들이 있다. 한전이 지원해준다고 했는데 전력공급 관점에서만 이뤄질 거 같다. 사업자들은 전력공급 외에 입지여건도 많이 고려할 것이다. 지자체에서 개발하는 새만금이나 이런 중장기 집적단지에 데이터센터 관련 지원 방안이 조기에 확정돼야 관련기업들에 도움이 될 거 같다.

-A. 아직은 전력공급만 조율하고 있는데 다른 부분들도 참고하도록 노력하겠다. 모든 방안을 동원하겠다.

-Q. 여태 수도권에 집중이 됐는데 부산, 울산 등은 부지가 많아 입지여건이 좋고 냉열 활용도 가능하다. 인력이 모자라지만 부산 울산은 다른지역보다 민원 문제도 적고 인센티브 확보도 용이하다. 지방 기업이야 데이터센터가 와주면 좋은데 그럴려면 정부가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명확하게 해소해줘야 한다.

-A. 기업들의 요구를 잘 이해했다. 확실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 오늘 여러분들이 말씀하셨듯이 과거 정책에서 바뀌는 과정이다.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

-Q. 사업자는 준공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 행정절차가 필요하다. 수년전부터 계획을 수립하고 해당기관과 협의를 하면서 진행을 하고 있다. 따라서 지원은 많아질수록 좋다. 데이터센터는 ‘3P’라고 생각한다. Power, Pipeline, People이다. 전력수급 안정과 지원 모두 필요하다. 운영인력 수급 문제가 지역분산 기반시설 구축에 가장 중요하다. 인적 네트워크가 전국적으로 연결이 되면 좋겠다. 서울에서 내려보내지 말고 준공 2~3년 기간 동안 전남, 전북, 강원에서 지역인재를 육성하면 지역균형 발전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정부와 기업 간담회를 자주 해서 꼼꼼한 지원정책이 마련되길 희망 한다.

-A. 이런 자리를 자주마련하도록 하겠다. 많이 배우고 있다. 감사 드린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