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수소발전 입찰시장, 분산에너지 역할 강화…변전소 최대접속용량 40MW 이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5 17:39

전력거래소 ‘수소발전 입찰시장 사업자 설명회’ 개최

변전소 최대접속용량 40MW 초과하면 사업자 선별해 0점 부여

내년 지역수급비율 평가 기준도 점수 더 받기 어렵도록 기준 개정

전력거래소가 25일 서울 중구 서울중부센터에서 '수소발전 입찰시장 사업자 설명회'를 열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전력거래소가 25일 서울 중구 서울중부센터에서 '수소발전 입찰시장 사업자 설명회'를 열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수소발전 사업자는 수소발전 입찰시장에 낙찰되려면 지금보다 더 분산에너지 역할에 충실하는 게 유리하다. 특정 변전소에 사업자가 몰릴 경우 입찰에서 탈락할 수 있어서다. 내년에는 계통포화지역을 평가하는 기준이 더 엄격해질 예정이다.


25일 전력거래소는 서울 중구 서울중부센터에서 '수소발전 입찰시장 사업자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수소발전 입찰시장에서 분산에너지 평가 부분을 강화하는 내용이 발표됐다. 분산에너지란 송전망 건설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력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전력거래소는 변전소 최대접속용량인 40메가와트(MW)를 초과해 설비가 낙찰되는 경우를 제한하는 기준을 신설했다.


▲수소발전 입찰시장 운영 현황(단위 :GWh/연, 기) 자료= 전력거래소

예컨대 한 변전소에 3개의 수소발전 설비가 입찰에 참여했다고 가정하자. 각각의 설비용량은 20MW, 15MW, 10MW라면 총 45MW다. 이렇게 되면 변전소 최대접속용량 40MW를 초과하게 되므로 한 발전소를 탈락시켜야 한다.




이런 경우 분산전원 특성을 제외한 비가격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겨 순위가 가장 낮은 사업자를 사실상 제외한다. 만약 10MW 규모 사업자가 비가격평가점수가 가장 낮다면 분산전원 특성 점수 20점 만점에 0점을 받는다. 이 기준은 1MW 이상 사업자에게만 적용된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분산전원 특성 평가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발전설비 용량을 분할해 입찰하는 전략적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기준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내년에는 총 10점이 배정된 지역수급비율 평가 기준도 바뀔 예정이다. 현재는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준으로 해당지역 전력판매량을 발전량으로 나눠 구한 비율을 따져 100% 이상이면 10점, 50% 이상 100% 미만이면 5점, 50% 미만이면 3점을 부여했다. 즉 전력을 많이 구매하는 지역에 수소발전을 할수록 높은 점수를 준다는 것이다.


내년부터는 발전량 기준을 발전설비용량 기준으로 바꾸고, 광역지방자치단체 17개 기준도 광역지역 5개로 바꾼다.


발전설비용량으로 기준을 바꾸는 이유는 재생에너지는 발전설비용량에 비해 발전량이 적게 나오기 때문이다. 태양광 같은 경우는 하루에 3~4시간 밖에 가동되지 않는다. 재생에너지 공급 과잉을 제대로 평가하려면 발전량보다는 발전설비용량을 보는 게 더 낫다는 의미다. 발전량대신 발전설비용량으로 비율을 따지면 비율이 기존보다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번 개편안은 수소발전 사업을 할 때 전력이 넘치는 영남, 호남 지역이 아닌 전력이 부족한 수도권과 같은 곳에서 되도록 하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수소발전으로 주로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태양광과 함께 화력, 원자력, 풍력 발전에 비해 입지가 비교적 자유로운 설비로 꼽힌다. 연료전지는 가정용 설비로도 사용된다.


정부는 수소시장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수소발전을 분산에너지로서 역할도 할 수 있다 보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일반수소발전 시장은 지난 2023년, 청정수소 발전시장은 지난해부터 개설했다. 두 시장 모두 분산에너지로서 전력시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평가해서 사업자를 선정한다. 다만, 청정수소보다는 일반수소발전 시장에서 더 엄격하게 평가한다. 청정수소는 친환경 수소를 사용하는 부담을 더 지는 만큼 분산에너지 평가 기준이 비교적 약하다.


이번 개편 내용은 일반수소발전 시장을 겨냥해서 발표됐다.


일반수소입찰시장은 종전 시장과 똑같은 연간 1300기가와트시(GWh) 물량으로 다음달 초 공고된다. 청정수소입찰시장 역시 다음달 초 공고된다. 물량은 연간 3000GWh로 예고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