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하반기부터 신규로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시설들은 입찰을 거쳐야 전력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이르면 올해 8월 LNG발전 입찰을 위한 용량시장을 개설할 계획이다. 전력거래소는 이달 중으로 가격/비가격요소로 이뤄진 입찰 세부 평가항목을 마련하기 위한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연내에 낙찰자 선정까지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연내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신규 LNG에 대해서는 경매를 한다는 내용이 반영될 예정이다.
용량시장 개설의 배경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2050년 탄소중립 등 목표 달성을 위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LNG 발전소 진입을 적정 설비 규모로 통제하기 위함이다.
전력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그동안 집단에너지 등 LNG 사용 발전설비가 신청을 하면 설치가 가능해 과잉 설비를 유발하고 있다고 판단, 전체적인 무탄소 전원 대비 LNG에 대한 비중 조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량시장 설계를 주관하는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큰 목적은 설비 통제인데 실제로는 설비와 무관하게 어차피 LNG 발전량은 점차 줄어들 것"이라며 “기존 설비들은 그대로 용량요금(CP)으로 정산하되 신규 설비에 대해서만 용량시장 입찰을 적용해 투자 물량을 줄이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연도별 입찰물량 등 각종 기준 산정 작업을 진행중이다. 기존 설비 외에 지난 10차 전력수기본계획과 11차 전기본에 반영될 신규 LNG 발전기 중 아직 발전사업인허가가 나지 않은 신규설비만 대상이라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입찰 물량은 1.1기가와트(GW)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연내 입찰을 마무리되면 신규 설비가 5~6년 정도 건설 등 준비 기간을 거쳐 2028~2029년부터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한편 용량시장 입찰 기준은 가격요소 60%, 비가격요소 40%로 알려졌다.
거래소 측은 “용량시장 입찰 평가 항목 중 가격 요소는 상한가가 될 것이 유력해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는 사업자의 낙찰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비가격 요소는 다양한 항목들을 고려하고 있다. 주로 사업 이행성에 관한 항목들, 사업 신뢰성이나 재무 계획, 회사의 안정성이 포함될 예정"이라며 “이는 수소입찰이나 재생에너지 등 기존에 늘 해오던 기본 항목들"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외에도 LNG 용량 시장의 경우 집단에너지와 LNG복합발전이 경쟁할 경우 종합효율과 열 저장 능력등을 검토를 할 것"이라며 “아울러 최근 전력 계통의 유연성 확보 측면에서 각자가 어떤 사업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열 제약량에 대한 대책 등도 평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적으로 경쟁이 붙으면 여러 가지 비가격적인 요소를 평가해 적정한 설비를 진입시키겠다는 게 정부의 방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업계에서는 용량시장 도입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다. 정산받을 CP·설비용량을 낮게 제시해야 유리한데다 업계가 준비하던 산단 신규 LNG열병합 발전 용량은 4GW 이상인데 용량시장 규모는 1GW 수준으로 알려져 반발이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년 동안 사업을 준비해왔는데 정부가 갑자기 제도를 바꾸고 물량, 비가격요소 등으로 민간 사업자들의 신규 사업을 통제하는 것은 불합리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