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04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물가상승률, 석달 연속 1%대 둔화…채소류는 10%대 상승 ‘불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03 08:17

통계청, 2024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석유류 대폭 하락 영향
기재부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2% 이내 흐름…체감물가 안정 노력할 것”

서울의 한 대형마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1%대를 기록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석유류 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지만 채소류 물가 상승률은 10%대로 불안한 추세가 계속됐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40(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부터 다섯달 연속 2%대에 머무는 등 안정세를 보였다. 지난 9월 1.6%를 기록하며 1%대로 내려온 이래 석 달 연속 1%대를 유지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0% 올라 전체 물가를 0.08%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채소류 물가가 10.4% 뛰면서 0.15%p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9월(11.5%), 10월(15.6%)에 이어 석 달 연속 10%대 상승이다.


무(62.5%), 호박(42.9%), 오이(27.6%)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올해 상반기까지 '고공행진' 하던 과실류 가격은 8.6% 하락했다. '금(金)사과'로 불렸던 사과도 8.9% 내렸다.


석유류는 작년 같은 달보다 5.3% 내리면서 전체 물가를 0.22%p 끌어내렸다.


다만 지난달과 비교하면 2.4% 상승했다. 국제유가 가격은 하락했지만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래픽]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 소비자물가 추이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외식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물가는 2.9% 올라 전체 물가를 0.97%p 끌어올렸다.


'밥상 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 지수는 0.4% 상승률을 기록해 2022년 3월(-2.1%) 이후 32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생활물가 지수 상승률도 1.6%로, 석달째 1%대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9%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8%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여름철 고온 현상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 가격이 올랐던 영향이 여전히 남은 것으로 보인다"며 “가을 기상 여건이 양호해짐에 따라 상승률은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이상기후,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이 있으나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2% 이내의 안정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누적된 고물가로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여전한 만큼 정부는 체감물가 안정에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