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동

dong01@ekn.kr

윤동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정책에 올해 철강업계 위기라는데…강관업체는 실적 개선 기대 중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02 12:33

트럼프 2기 행정부 원유·가스 개발 본격화로 강관 수요 증가
세아제강·넥스틸·휴스틸, 관세 대응 위해 북미 생산시설 구축

세아 강관

▲강관 [사진=세아제강]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국내 주요 철강사들의 실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강관 생산업체는 오히려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석유나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생산을 중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으로 에너지용 강관 미국 수출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지난해 누적 3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 합계는 1조535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1~9월 영업이익 합계인 2조9831억원에 비해 48.52%(1조4475억원) 줄어든 수준이다.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이 글로벌은 물론 국내 시장에도 유입돼 경쟁이 치열해 진데다 건설 등 주요 전방산업이 부진해지면서 영업이익 반토막을 피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내년에도 이 같은 악재에 더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영향으로 실적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은 10~20%의 보편 관세 도입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데 이 경우 국산 철강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국산 철강 제품에 적용한 미국 수출 쿼터(수입량 할당)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철강사 중 에너지용 강관 생산업체만큼은 이 같은 실적 악화에서 예외일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유정용 등 에너지용 강관의 미국 수출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시각에서다.




시추 장비 수요가 증가하면 유정용 강관이나 송유관 등 에너지용 강관 수요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추 장비가 땅속 깊은 곳을 뚫을 때, 뚫린 구멍을 지탱하거나 시추한 자원을 지상으로 운반할 때 강관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실제 에너지용 강관 수요는 계속해서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IMARC 리서치 그룹에 따르면 글로벌 에너지용 강관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245억달러(약 35조8700억원)에서 2032년 약 407억달러(57조58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강관을 생산하는 세아제강, 넥스틸, 휴스틸, 현대스틸파이프 등의 실적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용 강관은 고온·고압 환경에서 사용돼 높은 정밀도와 내구성을 갖춰야 하기에 품질이 중요하다. 이에 중국산 저가 제품이 활용되기 어려우며 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더욱 갖출 수 있다.


아울러 국내 강관 생산업체들이 미국 현지 생산시설 구축해 관세를 피해갈 수 있는 점도 눈에 띈다.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부터 투자를 단행한 결과다.


실제 세아제강은 지난 2017년부터 미국 휴스턴에 연산 25만t(톤) 규모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넥스틸은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공장을 세우고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강관을 생산하고 있다.


휴스틸도 휴스턴 인근에 연산 7만2000t 규모의 유정용 강관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한다.


한 강관 생산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시기 화석 연료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호재"라며 “시추 깊이와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고품질의 강관이 더 많이 필요하기에 품질이 좋은 국내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