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연간 영업이익 '1조 클럽' 증권사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작년 국내 증시는 부진했지만, 늘어난 해외주식 거래량 등 미국발 수혜를 받아 대형사들의 실적이 대폭 확대한 덕이다. 그러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외 별다른 수익원이 없는 중소형사의 부진은 길어져 업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심화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업계 자기자본 1위(12조원)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연간 연결 영업이익 1조1589억원으로 약 3년 만에 '1조 클럽'에 복귀했다. 전년 대비 122% 늘어난 수준이다.
미래에셋증권 외에도 삼성증권, 키움증권, 메리츠증권 등 대형 증권사가 1조 클럽 달성에 성공했다. 업황 악화로 실적이 부진해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한 증권사가 없었던 재작년과 비교하면 사뭇 다른 모습이다. 한국투자증권도 작년 3분기 일찌감치 누적 영업이익 1조1587억원에 도달한 상태다. 하나증권은 대형사이긴 하지만 영업이익은 1420억원에 불과했다. 그래도 작년 3408억원의 큰 영업손실을 낸 것에 비하면 실적 개선에 성공한 셈이다.
이같은 대형 증권사들의 '실적 부활'은 미국의 영향이 컸다. 작년 뉴욕 증시가 꾸준히 우상향하며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미국 주식 거래량이 증가했고, 이에 따른 수수료 수익 증가가 대형사들의 주식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을 견인했다. 더불어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로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채권 운용 부문 수익도 성장했다. 대형사 특성상 전통 투자금융(IB), 자산관리(WM) 등 분야로 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된 것도 주 요인 중 하나다.
하지만 증권업계의 모두가 웃을 수는 없었다. 마땅한 해외 기반 수익원을 갖지 못한 중소형사들의 부진이 깊어지며 업계 '빈부격차'가 더 커졌기 때문이다.
최근 실적을 발표한 다올투자증권의 경우 연간 영업손실 755억원으로 작년(영업손실 620억원)보다 적자 폭이 확대됐다. iM증권(구 하이투자증권)도 210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2023년(영업손실 56억원)에 이어 2년 연속 적자다. 현대차증권은 547억원 영업흑자였지만, 역시 전년(652억원) 대비 이익이 감소했다.
부동산 PF 부실이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 악화를 초래한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 PF 관련 사업 비중이 높은 중소형 증권사들이 마땅한 수익원을 찾지 못하면서 실적 개선에 실패한 것이다.
특히 일부 증권사는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것이 결정타였다. 다올투자증권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 강화로 인해 연간 456억원의 대손충당금을 반영했다. 현대차증권은 291억원, iM증권은 무려 3061억원이었다.
올해도 국내 증시 부진이 깊어지고 해외 증시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강력한 해외 주식 거래 점유율을 보유한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실적 격차는 더 커질 전망이다. 특히 중소형사는 여전히 비우호적인 부동산 시장, 쉽지 않은 사업 다각화로 극적인 실적 반등이 나타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 가지 긍정적인 점은 중소형사가 가진 PF 리스크가 어느 정도 끝이 보인다는 점이다. 최근 수년간 당국의 방침대로 선제적인 대규모 충당금 적립을 계속해 왔고, 내부적으로도 PF 관련 익스포져를 지속적으로 축소해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부실 사업장 정리 등 리스크 관리 노력을 해온 결과 올해만큼은 흑자로 돌아서는 중소형사가 많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