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상호관세, 모든 국가에 부과”…‘20% 보편관세’ 나오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31 14:34
US-POLITICS-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 발표 예정인 상호 관세와 관련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상호관세가 이른바 '더티15' 등 특정 국가를 상대로 우선 부과될 것으로 예측됐었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무역 상대국에 최대 20%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보편관세'가 부과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0~15개 나라를 우선 부과하는 것을 계획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15개 국가, 10개 혹은 10개 국가라는 루머를 들은 적이 없다"며 “나는 10~15개 나라에 대한 루머를 들은 적 없다"라면서 “기본적으로 우리가 얘기하는 모든 국가"라고 덧붙였다.


이어 “만약 여러분이 역사에서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살펴본다면, 아시아로 가서 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무역은 물론 군사적으로 미국에 어떻게 했는지를 본다면 나는 누구도 우리를 공정하거나 좋게 대했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들이 우리를 대하는 것보다 훨씬 친절하게 대할 것"이라며 “미국에게 상당한 돈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을 “미국 해방의 날"로 지정하며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감안한 상호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해왔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상호 관세와 관련해 미국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는 '더티15'라는 표현을 사용하자 일각에서는 무역 흑자 폭이 큰 한국을 포함해 주요 국가가 상호관세의 우선적인 타깃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도 그동안 사전 협상을 통해 합의에 이르면 상호관세에 예외를 둘 수 있을 것처럼 말했지만 지난 25일에는 “예외는 너무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가, 이튿날인 26일에는 상호관세 대상을 “모든 국가"라고 입장을 바꾸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교역국을 상대로 최고 20%의 보편관세를 물리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은 최근 며칠 사이 '최고 20%의 보편관세'를 고려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논의의 핵심 중 하나는 무역 상대국에 개별 관세율을 적용할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에서 공약해왔던 모든 국가에 동일한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였다.


익명을 요구한 미 정부 당국자는 상호관세와 보편관세의 두 가지 방안이 모두 테이블에 올라 있다면서, 최종적으로 어느 쪽이 선택될지 불확실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크고 단순하길'(big and simple) 원한다고 말했다.


WSJ은 “이러한 움직임은 베선트 장관이 '더티 15'란 딱지를 붙인 미국의 가장 큰 무역상대국들을 (관세부과에서) 우선한다는 초기 계획보다 최종적 조처가 커질 수 있다는 걸 의미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 NBC 방송과 전화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내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멈추는 데 실패하고, 러시아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뜻"이라며 “모든 원유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 무든 원유에 25~50%포인트 관세"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3선 도전 가능성과 관련해 “농담이 아니다"라며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수정 헌법은 대통령의 3선 출마를 명백히 금지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