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은 막을 수 없어도, 대응은 달라야 한다"… 현장성 앞세운 청도군의 복구 행정
400mm 폭우에 유실·침수 잇달아… 신속 대응과 장기 복구계획 병행 추진

▲집중호우 긴급대책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제공=청도군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기후변화가 일상이 된 시대, 지방자치단체의 재난 대응 능력이 주민의 생명과 일상을 좌우하고 있다.
최근 400mm에 달하는 기록적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청도군은 신속한 응급복구에 나서며 '현장 중심 재난 행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청도군은 집중호우 직후 전 실·과·소장과 읍·면장이 참석하는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부서별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
군은 재난대책상황실을 즉각 가동하며 신속한 장비 투입과 피해지 현장 복구에 나섰다.
주요 피해 지역인 청도읍 등에는 굴삭기와 덤프트럭, 양수기 등 총 15대의 장비를 동원해 △하천 정비 △농로 및 도로 배수 △침수 주택 주변 정리 △유실 구조물 응급보강 작업을 단기간 내 마무리했다.
단순 장비 투입에 그치지 않고, 각 읍·면 재난담당자와 민간 장비 운영자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해 장비를 탄력적으로 운영한 점도 주목된다. 현장에는 인력을 집중 배치해 2차 피해 예방 조치도 병행했다.

▲응급 복구 현장 모습 제공=청도군
◇응급복구 넘어선 '다음 단계'… 공공·사유시설 정밀 조사 착수
청도군의 복구 대응은 응급 단계를 넘어 중장기 복구 체계로 나아가고 있다.
군은 현재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계획 수립 요령'에 따라 공공시설과 민가 등 피해 전반을 정밀 조사 중이며, 사유시설 피해는 오는 30일까지 읍·면사무소를 통한 주민 신고를 받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예고 없이 찾아온 재난 상황에서도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군의 책무"라며 “응급복구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복구와 재발 방지까지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집중호우 피해 대책회의 모습 제공=청도군
◇위기 이후의 행정, 무엇이 중요한가
청도군의 이번 대응에서 주목할 점은 '속도'와 '현장성'이다.
즉각적인 비상체계 가동, 장비와 인력의 집중적 배치, 민관 협력 구조의 활용 등은 재난 초기에 행정이 해야 할 핵심 과제를 잘 수행한 사례다.
하지만 진짜 행정의 시험대는 지금부터다. 사유재산 피해 복구와 농작물 피해 보상, 생활 터전 상실에 따른 주민 정서 회복 등은 시간이 걸리며 정교한 행정적 접근이 요구된다.
단기 성과를 넘어서 주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장기 대응 체계와 맞춤형 복구 정책이 필요하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재난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대응은 준비된 만큼 달라질 수 있다"며 “청도군은 단순한 응급복구에 그치지 않고, 피해 주민의 생활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