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설 연휴 기간이 27일 임시공휴일로 지정으로 엿새로 늘어났다. 직장인의 경우 31일 연차를 사용하면 2월2일까지 9일간 쉴 수 있다. 직장인 등 시민들과 여행업계는 대체로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소상공인·자영업자는 근심이 가득하다. 정부가 임시공휴일 지정의 목표로 밝힌 내수 경기 활성화가 자신들에게까지 미치치 않을 것이라는 불확실성 때문이다.
외식업계는 사무실 밀집지역의 오피스 상권을 중심으로 걱정이 크다. 주거지 식당들도 긴 연휴로 여행, 귀성객이 늘면 타격이 불가피하다. 상대적으로 유동인구가 줄어 매출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관광지 중심으로는 연휴 특수에 소비가 '반짝' 증가할 수 있지만 단기적이라는 점에서 기대가 높지 않다.
이전부터 지속돼 온 고물가와 충분하지 않은 소비 여력 탓에 긴 연휴의 효과와 경기 활성화를 직접적으로 연결 짓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 내수 경기보다는 해외로 빠지는 돈이 더 많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휴가 길어지면서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장기적 플랜이 절실하다.
현재 한국 경제는 12·3 불법계엄 사태로 더욱 꽁꽁 얼어붙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전월 대비 12.3포인트 떨어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3월(18.3포인트) 이래 최대 낙폭이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낙관적, 작으면 비관적이라고 설명한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2023년 1월 이후 이 2년 만에 “경기 하방 위험"이라고 진단했다. 소비자심리지수와 기업심리지수가 동시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도 분석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11월12부터 12월6일까지 소상공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실태 및 정책과제 조사' 결과에서 절반 이상(55.6%)이 올해 경기가 지난해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경영환경이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은 5.0%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