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車부품 1차 협력사 영업이익 12%↓…美관세에 타격 커질듯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1 10:42

완성차 업계 침체 영향…위기 속 양극화 커질듯

ㅇㅊㅇ

▲컨베이어를 지나가는 제품을 현대모비스 어쿠스틱 AI 검사기가 판별하고 있다.

자동차부품 1차 협력사들의 지난해 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 둔화와 내수 침체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는 미국 관세 부담이 가중되면서 수익성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상장된 자동차부품 1차 협력사 83곳의 매출은 81조2249억원, 영업익 3조496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보다 약 3.7% 증가했지만, 영업익은 11.7%가량 급감했다.


완성차 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한 영향이 부품업계에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완성차 업체 5개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글로벌 판매량은 지난해 794만7170대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같은 기간 내수 판매량은 135만8842대로, 6.4% 줄며 지난 2008년(114만5천대)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이번 집계에서 제외된 현대차그룹 계열사 현대모비스의 지난해 영업익은 3조735억원으로 33.9% 증가했다. 매출은 3.4% 감소한 57조2370억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위아(공작기계 부문 포함)의 매출은 8조5631억원, 영업이익은 2367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0.3% 줄었지만, 영업익은 3.3% 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기업과 중소 부품사의 대응력 측면에서 양극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업은 강력한 재무 구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응이 가능하지만, 중소 부품사들은 구조적 취약점으로 인해 생존 위기에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업체 규모가 작을 수록 실적 부진에 따른 수익성 악화 정도가 커지는 데다 완성차 업계와의 협상력이 떨어져 자금난이 가중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담으로 대미 수출이 줄며 'n중고'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정부는 자동차와 관련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기본 상호관세 10%도 적용했다. 향후 2년 동안 자동차 부품 관세는 일부 완화키로 했지만,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국내 부품업체들에 대한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82억2000만달러(약 12조원)로 전체 자동차 부품 수출액의 36.5%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29.5%)보다 약 7%가량 증가한 규모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