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SKT 직영점에 신규가입 관련 안내가 부착된 가운데 한 시민이 매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유심(USIM·가입자식별모듈)정보 해킹 사고로 촉발된 SK텔레콤의 가입자 이탈이 진정세를 보였다.
하지만 예년 대비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오는 4일 발표 예정인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결과가 최대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가입자 보상안 등 후속 조치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이동통신 번호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SKT에서 다른 통신사로 옮겨간 가입자는 20만7847명으로 집계됐다. 전월(44만490명)인 5월보다는 2배가량 낮지만, 평년보다는 여전히 높다. 같은 기간 KT는 4만9394명, LG유플러스는 5만4892명 순증했다.
경쟁사들이 SKT 이탈자를 흡수하는 현상이 이어졌지만, 전월보다는 반사이익 효과가 약해진 모습이다. 지난달 SKT에서 KT로 옮긴 가입자는 8만2043명, LGU+로 옮긴 가입자는 8만7774명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각각 58.2%, 44.6% 감소한 수치다. 알뜰폰으로 번호를 이동한 가입자는 3만8030명으로 55.8% 줄었다.
번호이동은 기기 변경 과정에서 휴대전화번호는 유지한 채 통신사만 옮기는 것을 뜻한다. 저렴한 요금제를 찾아 이동하는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해 통신사들이 할인 및 프로모션 경쟁을 펼치는 구조로, 시장 경쟁 활성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SKT의 유심 교체 작업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지난달 중순을 기점으로 번호이동·기기변경과 같은 신규영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SKT는 영업 재개에 맞춰 공시지원금 및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의 15%)을 상향하는 등 번호이동 혜택을 강화했다. 업계 안팎에선 SKT가 삼성전자 갤럭시 Z시리즈가 출시되는 이달 중순부터 마케팅을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가입자 이탈 규모가 여전히 적지 않은 만큼 브랜드 신뢰 회복은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대치를 기록했던 5월보다는 이탈자 수가 줄어들었지만, 2023년(12만8846명)과 전년(11만7658명)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60~70%가량 높다. 무선 시장 점유율 또한 40%대 이하를 맴돌 것으로 예상된다.
해킹 사고 발생 이후 SKT 가입자 이탈 규모는 4~5월(67만7491명)을 합쳐 88만5338명에 달한다. 석 달 만에 90만명가량이 빠져나간 셈이다. 같은 기간 SKT로 유입된 가입자 수를 제외한 순감 규모는 63만142명이지만, 그래도 70만명에 육박한다.
SKT의 시장점유율은 30%대 후반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4월 무선통신서비스 통계치를 기준으로 통신 3사의 순증 규모를 합산하면, 6월 가입자 수 예상 규모는 △SKT 2231만883명 △KT 1364만9244명 △LGU+ 1119만6407명이다. 점유율은 각각 39.0%, 23.9%, 19.6%다. 이는 알뜰폰으로 떠난 고객까지 포함한 수치며, 같은 기간 총 가입자 수 증감세에 따라 소폭 달라질 수 있다.
향후 SKT의 점유율 회복 여부는 대응 방향에 달렸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가입자 보상안으로는 1인당 1~2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감면 등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나, 해킹 사고로 실추된 브랜드 이미지를 회복할 수 있을지 현재로썬 미지수다.
브랜드가치 평가회사 브랜드스탁의 '2025년 2분기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SKT는 1분기 11위에서 2분기 40위로 29계단 내려갔다. 브랜드가치 평가지수(BSTI)는 890.1점에서 850.1점으로 40점 떨어졌다.
신규영업 중단 기간 동안 마케팅 집행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2분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입자 감소세가 이어질 경우 하반기 실적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SKT에서 이탈한 가입자의 1인당 평균매출(ARPU)을 5만원으로 가정하면, 2분기 매출 감소 규모는 45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며 “여기에 유심 교체 비용 400억원을 합산하면, 손실 규모는 800억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