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고환율에 얼어붙은 소비심리…車 업계 수출·내수 ‘동시 부진’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30 14:57

지난 27일 원달러 환율 1480원 넘어…15년 만의 기록

트럼프 집권에 수출 불안한 車 업계, 내수 부진도 걱정

불안한 정세·고물가에 소비심리 역대급 낙폭 기록 중

.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80원대를 돌파한 27일 서울 명동 환전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1480원을 넘어섰다. 비상계엄을 시작으로 탄핵, 미국 금리 인하 등 굵직한 리스크가 연이어 터진 결과다. 이에 완성차 업계의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집권시 보편관세로 인해 수출량이 예전 같지 못할 것인데다 고물가로 인해 내수 시장은 더욱 얼어붙을 것이기 때문이다.


30일 하나은행에 따르면 지난 27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86.7원을 찍고 1476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달러가치는 금융위기 후 15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최근 환율의 가파른 오름세는 대내 정치적 불안이 가장 큰 원인이다. 환율은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이전까진 1400원선울 유지하다 선포 후 1442원까지 급등했다.


이후 1410원~1430원을 오락가락하다 19일 오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0.25%p 인하결정에 1450원을 돌파했다. 계속해서 오르던 환율은 지난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환대행 국무총리가 탄핵당하면서 1480원을 돌파했다. 이달 원화 가치 절하 폭은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도 일본 엔화 다음으로 가장 컸다.


환율의 엄청난 오름세에 국내 자동차 업계는 혼란에 빠졌다. 달러 강세 초반엔 환차익으로 인해 수출에 유리할 것이라 전망됐지만, 이제는 마냥 낙관적으로 상황을 바라볼 수는 없게 됐다.




내년 수출 전망이 어두운데다 고환율에 따른 고물가로 인해 내수 경제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잘나가던 수출이 감소하고 이를 보완할 내수도 침체될 것이란 분석이다.


내년 현대자동차 등 국내 자동차 업계는 올해와 같은 수출량을 기록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확정되진 않았지만 트럼프 2기 집권 시 10% 이상의 보편관세, 20% 이상의 멕시코 우회 수입품 관세 등이 예고됐기 때문에 미국 내수 상품들과 경쟁에서 크게 뒤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의 '미국 보편관세 부과 시나리오'에 따르면 자동차의 경우 내년 수출 감소 효과는 약 7.7~13.6%로 예상된다. 미국 보호무역주의 기조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분석이다.


아무리 달러 가격이 높아진데도 판매량 자체가 줄어버리면 국내 완성차 업계의 글로벌 영향력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환율 상승으로 인해 완성차 제작에 필요한 부품 수입 단가가 오르면 기존 수익구조에도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내수는 더 심각하다. 달러 가격의 상승은 국내 시장의 물가 상승으로 직결된다. 물가가 오르면 자연스레 소비자들의 지갑도 닫힌다. 정세 불안에 고물가까지 이중고가 덮친 것이다.


업계도 벌써부터 부정적인 내년 소비 전망을 내놓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내년 소매유통시장이 올해 대비 0.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1.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어 한국은행의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도 88.4로 전달보다 12.3포인트 하락했다. CCSI도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과 비교해 낙관적이고,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국내 경기가 불안정해지면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적어질 것이고 이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자동차 내수는 더 큰 낙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 판매실적에 따르면 11월 국내에서 판매된 국산차는 12만379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 감소했다. 그랑 콜레오스로 반등에 성공한 르노코리아를 제외한 4개사 모두 전년 동월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의 다양한 관세 시나리오 분석 결과 부가가치 측면에서 자동차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며 “트럼프 2.0의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에 따라 투자, 무역수지 관리 측면의 대응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