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아파트 단지.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7조원 가까이 급증했다. 이달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시행되는 가운데, 규제 시행 전 대출을 받으려는 막차 수요가 몰리며 대출 증가폭이 대폭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 전체로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7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1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4조8348억원으로, 전월 대비 6조7536억원 늘었다.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인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7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5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원 증가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 1월 감소(-4762억원)했으나, 2월부터 증가 전환 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4월에 4조5337억원, 5월에 4조9964억원으로 대폭 늘어난 데 이어 6월에는 6조원대 후반으로 크게 확대됐다.
가계대출 큰 폭으로 불어난 것은 주택담보대출 급증에 더해 신용대출까지 가파르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99조4250억원으로, 한 달 새 5조763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9월(5조9158억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급증했다.
여기에 신용대출(잔액 104조4021억원)이 전월 대비 1조876억원 늘어나며 2021년 7월(1조8636억원) 이후 처음으로 1조원 이상 증가했다. 수도권 집값이 급등세를 보이며 영끌(영혼을 끌어모아 대출)이 늘었고, 새 정부 출범 후 코스피5000 기대감에 주식시장도 활기를 띠며 투자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DSR 3단계를 앞두고 대출을 받기 위한 수요까지 겹치며 대출 증가세에 불을 지폈다. 스트레스 DSR 3단계는 대출 심사 시 금리 리스크를 미리 반영해 스트레스 금리를 더하는 것으로, 수도권 가계대출에 1.5%의 가산금리가 부과된다. 실질적으로 차주들이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온다.
은행권은 이달 이후 가계대출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28일부터 이재명 정부의 첫 가계대출 규제까지 시행되며 수도권과 규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최대 한도가 6억원까지만 가능해졌고, 신용대출 한도도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됐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신청 후 실행까지 1~3개월이 소요돼 앞선 대출 신청분을 감안하면 단기간에 가계대출 분위기가 반전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강력한 규제 효과가 발휘되기 시작하면 점차적으로 안정세를 찾아갈 수 있어 대출 변화를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이 은행권 입장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6·27 가계대출 규제까지 나오며 스트레스 DSR 3단계보다 더 강력한 규제까지 시행됐다"며 “이달 이후 가계대출 수요가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