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신화/연합)
중동 순방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날부터 미국의 대대적인 중동정책 전환에 시동을 걸었다.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 연설에서 “나는 시리아에 발전할 기회를 주기 위해 시리아에 대한 제재를 중단할 것을 명령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는 이 지역을 혼란과 분쟁, 전쟁과 죽음의 장소가 아닌 기회와 희망의 땅으로 볼 것"이라며 “미국 정부는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과 시리아 간 정상적 관계를 복구하기 위한 첫 조치를 이미 취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리아에 행운을 빈다. 우리에게 뭔가 특별한 것을 보여달라"고 했다.
또 작년 12월 시리아의 반군이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정권을 축출하고 세운 과도정부에 대해 “새 시리아 정부가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은 2011년 알아사드 대통령이 통치하던 시리아에서 내전이 발발하며 학살 등 인권 탄압 논란이 일자 이듬해 시리아와 단교하고 대사관을 폐쇄했다.
이번 시리아 제재 해제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직접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 제재 해제 발표 후 “왕세자를 위한 일"이라며 “제재는 가혹하고 파괴적이었으나 중요한 기능을 했지만 이젠 시리가가 빛날 차례"라고 말했다. 이에 빈 살만 왕세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기립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오랜 앙숙인 이란에 대해서도 정책 전환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인 2018년 오바마 정부 때 타결된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면서 최대 압박 정책을 펼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포럼에서 이란에 대해 “차이가 매우 크지만 더 안정된 세상을 위해 과거의 충돌을 끝내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싶다"며 “이란과 협상하길 원한다. 이란과 협상이 맺어지면 난 매우 행복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란과 관련해 나는 영원한 적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며 “사실 미국과 가장 가까운 친구 중 일부는 과거 세대에서 전쟁을 치렀던 국가들이다. 지금은 우리의 친구이자 우방"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중동 지역과 세계를 더 안전하게 만들 것"이라면서도 “이란 지도부가 이 올리브 가지를 거부하고 이웃 국가를 계속 공격한다면 우리는 최대 압박을 가해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로로 줄일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리는 이란이 위대한 국가가 되길 원하지만, 이란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라면서 “선택은 그들의 몫"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란을 향한 올리브 가지는 영원히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에게 서한을 보내 2개월의 시한을 제시하면서 핵 협상을 제안했다.
미국과 이란은 그 이후 지난달 12일부터 지난 11일까지 4차례에 걸쳐 핵협상을 했으며 양측 모두 일단 진전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리야드에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한 뒤 에너지, 국방, 자원 등 분야 합의가 담긴 6000억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미국 12개 방산기업이 사우디와 1420억 달러에 달하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방위 장비 판매 계약을 체결했고 미국은 사우디 군대의 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을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 분야에서는 양국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최첨단 기술, 인프라 등 분야에 협력하고 사우디의 대미 투자와 관련한 투자 파트너십도 체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