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또다시 정면 충돌했다. 머스크 CEO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으로 명명된 감세 법안을 거세게 비판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테슬라 등에 대한 보조금 중단 가능성을 또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머스크 CEO는 나를 대통령으로 지지하기 오래 전부터 내가 전기차 의무화에 강력히 반대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며 “그것(전기차 의무화)는 터무니 없고 이를 폐지하는 것이 내 캠페인의 핵심 부분이었다"고 적었다.
전기차 회사를 이끄는 머스크 CEO가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의무화를 반대하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그를 대통령으로 지지한 점을 조롱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전기차는 전기차는 좋지만 강매해서는 안된다"며 “일론은 역사상 어떤 인간보다도 많은 보조금을 받았을지 모른다. 보조금이 없다면 일론은 아마도 사업을 접고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로켓 발사, 위성, 전기차 생산이 더 이상 없다면 우리나라는 거액의 돈을 절약할 수 있다"며 “아마도 DOGE(정부효율부)가 이걸 잘, 심각하게 검토하게 해야 하겠지? 큰돈이 절약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사진=AFP/연합)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머스크 CEO가 감세 법안을 또다시 비판한 뒤 나왔다.
머스크 CEO는 30일(현지시간)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선거 기간엔 정부 지출을 줄이라고 말해놓고 이제 갑자기 사상 최대폭의 재정 적자 증가에 찬성하는 모든 의원은 부끄러움에 목을 매달아야 한다"며 “내가 그들을 도울 생각이 없다면 모두 내년 경선에서 패배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화당 의원 일부는 직접 거명했다. 머스크 CEO는 공화당 강경보수파 모임인 하원 프리덤코커스의 앤디 해리스(메릴랜드), 칩 로이(텍사스) 의원을 향해 “역사상 재정적자를 가장 크게 늘려 '빚의 노예'로 만드는 법안에 찬성한다면 어떻게 스스로를 프리덤코커스로 부르겠는가"라고 따졌다.
그는 또 “법안대로 정신 나간 듯이 지출을 늘렸다가는 분명히 우리가 사는 이 나라, '돼지 같은 거대 단일정당' 국가의 재정 적자가 역대급, 5조 달러(약 7000조원) 규모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신 나간 지출법안이 통과하면 그 바로 다음 날 '아메리카당'이 창당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민주-공화당 단일정당의 대안이 필요하다. 그래야 국민이 실질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8일 미 상원 절차 표결에서 가결된 감세 법안은 최종 표결을 앞두고 수정안을 무제한 제출하고 표결하는 이른바 '표결 마라톤'에 들어간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당인 공화당에 법안 통과를 강하게 압박했다.
특히 법안에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최대 7500달러의 전기차 보조금을 앞당겨 폐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풍력·태양광 에너지 발전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는 내용도 담겨 테슬라의 사업 영역가 직결된 분야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 CEO의 갈등을 조명한 뉴욕포스트(사진=로이터/연합)
머스크 CEO와 트럼프 대통령은 감세 법안을 두고 지난달에도 신경전을 벌여왔다. 그는 지난달 3일 감세 법안을 두고 “미안하지만, 나는 더는 참을 수 없다. 이 엄청나고 터무니없으며 낭비로 가득 찬, 의회의 지출 법안은 역겹고 혐오스러운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참을 수 없다는 듯 지난달 5일 백악관에서 머스크에 대해 “매우 실망했다“며 공개적으로 비난하자 두 사람의 갈등은 극에 달했다.
그 이후 머스크 CEO가 지난달 11일 “대통령에 대한 내 게시물들 일부를 후회한다. 그것들은 너무 멀리 나갔다"는 글을 올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한다는 태도를 보이면서 갈등은 봉합되는 듯 했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29일 폭스뉴스에 “그와 많이 이야기하지는 않았지만 일론은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항상 잘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