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부동산 시장은 각종 불확실성에 노출돼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매매가격은 약세가 지속되다 중반기 이후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현상은 더욱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입주물량이 줄어든 탓에 전세 가격은 오름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올해 말까지 0.5% 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이 1.7%, 수도권은 0.8% 오르지만 지방에서 가격이 1.4%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지역간 양극화가 더 뚜렷해진다.
올해 부동산 시장의 특징은 집값 상승과 하락 요인은 공존한다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추진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경기 침체, 계속되는 대출 규제 등이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다. 반면 고질적인 공급부족 현상이 누적되고 금리가 내려갈 수 있다는 점 등 상승 요인도 존재한다.
전세 시장 분위기는 다르다. 경제변수에도 불구하고 시장 진입 인구가 늘고 금리 영향 등으로 공급보다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원은 올해 전세가격이 수도권 1.9%, 서울 1.7%, 지방 0.1%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적으로는 1.2% 가량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월세도 마찬가지다. 월세 전국 순 변동값은 2023년 7월 저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반등 추세다. 아파트·비아파트 모두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만큼 월세 가격 역시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주택 거래량 자체는 지난해(약 63만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전체 주택재고의 3.1%에 해당하는 양이다. 통상 시장이 과열·침체되지 않은 정상거래시기에는 4~5%(약 90만건) 정도 거래량이 나왔다. 정치·경제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매수·매도자 모두 일정 수준 관망세를 보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집들이 물량은 26만가구 수준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약 36만4058가구)와 비교해 10만가구 이상 빠진 수치다. 2014년(27만4943가구) 이후 11년만에 가장 적은 물량이기도 하다. 수도권인 경기도에서만 4만6000가구가 줄어든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또 상반기 보다 하반기로 갈수록 물량이 줄어드는 추세가 확인돼 가을 이사철에 임대차 가격 변동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결국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주택 규제는 유지되는데 시세 대비 고분양가 부담이 큰 지방에서 미분양 재고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방 미분양과 비아파트 관련 규제 완화는 오히려 수도권 우수 매물의 가격 상승요인을 부채질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분야에 따라 분위기가 갈릴 전망이다. 오피스의 경우 2022년 하반기부터 고금리로 침체 국면이 지속됐지만 지난해 바닥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올해는 A급 오피스와 중규모 이상 본사 건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물류센터는 위치와 타입에 따라 자산별 가격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리테일·호텔은 매출이 저조한 시기 타 용도로 전환 목적 거래가 증가하는 사례가 많다. 작년까지 실적이 저조한 곳 위주로 거래가 활발해지는 모습이 보여 올해 상황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핵 국면을 어떻게 벗어나느냐는 호텔 등 거래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국인 관광객의 급격한 하락 또는 회복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덕래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부동산 시장 정상화를 위해서는) 실수요자 부담을 늘리고 공급은 위축시키는 주택금융관련 규제를 정상화하고 건축비 문제,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 과도한 기부채납 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며 “공공택지 개발절차를 단축해 기신도시 공급을 빨리 이뤄지게 하는 데 중점을 둬야할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