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재야'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이 별세하면서 그의 발자취가 남긴 울림이 각계에 퍼지고 있다. 고인은 지난 22일 오전 1시 35분께 입원 중이던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담낭암 투병 끝에 숨을 거뒀다. 앞서 장 원장은 두 달여 전인 지난 7월 16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암 투병 소식을 전했었다. 그러면서 “여러 어려운 사정에서도 물심양면의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기대에 부응하기는커녕 갑자기 죽음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전하게 되어 정말 죄송하다"고 썼다. 고인은 1966년 서울대 법학과에 입학했지만, 졸업은 1995년에야 가능했다. 전태일 열사 분신 사건을 계기로 학생운동과 노동 운동에 투신하면서다. 그는 1970년 전 열사 사후에 전 열사 어머니인 이소선 여사와 만나 시신을 인수하고 서울대 학생장으로 장례를 치르는 데 앞장섰다. 이후 전태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조영래 변호사에게 전달해 '전태일 평전'을 만드는 데 기여했고, 2009년에는 전태일기념사업회 이사장을 지냈다. 고인은 이 여사와 한동안 도봉구 쌍문동 같은 동네에 살며 노동운동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은 서울대생 내란음모사건을 시작으로 민청학련사건, 청계피복노조 사건, 민중당 사건 등에 관련돼 9년간 수감 생활, 12년간 수배 생활을 했다. 그는 숱한 수감·도망 생활로 민주화 운동 보상금이 10억원에 달했지만, 일절 수령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은 이에 대해 2019년 한 언론 인터뷰에서 “나는 국민 된 도리, 지식인의 도리로 안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전 열사 모친 이 여사도 세상을 떠나던 2011년 “기표는 내가 만난 사람 중에 가장 진실하고 바르게 살려는 첫 사람이자 나에게는 영원한 스승"이라고 평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이 '영원한 재야'로 불린 것도 항시 '특권'과 거리를 두고 살아온 발자취가 영향을 줬다. 그는 민주화 운동에 대한 높은 공로와 인지도에도 재야 운동 중심에 머물렀다. 1990년에는 현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재오 전 의원, 김문수 현 고용노동부 장관 등과 함께 민중당 창당에 앞장섰다. 이후에는 개혁신당, 한국사회민주당, 녹색사민당, 새정치연대 등을 창당했다. 공직 선거에는 1992년 제14대 총선을 시작으로 15·16대 총선, 2002년 재보궐, 17·19·21대 총선까지 7차례나 출마했다. 그러나 모두 떨어졌다. 수십 년 도전 가운데 그가 주류 정당에서 당선을 목표로 할 수 있는 지역에 출마한 것은 21대 총선이 유일하다. 당시 고인은 보수정당(국민의힘 전신 미래통합당) 후보로 옮겨 경남 김해 을에 출마했었다. 낙선 뒤에는 국민의힘을 나와 특권폐지당 창당을 추진하던 중 원외 정당 가락당에 합류했다. 이후 가락특권폐지당으로 22대 총선에 후보를 냈으나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최근에는 '신문명정책연구원'을 만들어 저술과 국회의원 특권 폐지 운동 등에 집중해왔다. 지난해부터는 특권폐지국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로도 활동하며 국회의원의 면책·불체포특권 폐지, 정당 국고보조금 폐지, 국민소환제 도입 등을 주장했다. 고인 별세 소식에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 정치권 전반에서 추모 물결이 흘렀다. 윤 대통령은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으로 우리 시대를 지키신 진정한 귀감"이라고 고인을 애도했다. 정부도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고인에 국민훈장 모란장을 추서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도 고인이 “한평생을 노동·시민 운동에 바쳤지만 '국민 된 도리이자, 지식인의 도리로 할 일을 했을 뿐'이라며 보상을 마다했다"며 헌신을 되새겼다. 아울러 고인이 “최근까지 국회의원 특권 폐지 운동에 매진해왔다"며 “생전 고인께서 몸소 실천해주셨던 헌신을 끝까지 기억하겠다"고 다짐했다. 박수영 의원도 고인과의 인연을 소개하고 “당시 10억원이면 큰돈이라 (민주화 운동) 보상금을 받았으면 편하게 사셨을 텐데 돈보다 명예, 물질보다 정신을 강조하고 실천했던 분"이라고 평했다. 지난 정부 시절부터 고인에게 강한 비판을 받았던 더불어민주당은 별세와 관련해 별도 논평을 내놓지는 않았다. 다만 민주당 출신 우원식 국회의장, 박용진 전 의원, 이석현 새로운미래 비상대책위원장 등 인사들이 빈소에 조기를 보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전태일 열사의 '대학생 친구'이자 반독재민주화운동의 선봉에 섰던 투사였다"며 고인을 추모했다. 조 대표는 고인에 대해 “대학 시절 김근태 선생과 함께 마음속 깊이 존경했던 대선배였다"고 돌아봤다. 그는 “그런 분이 왜 정치적 우향우를 했는지 상세히 알지 못한다"며 “이제 영원한 안식을 빌 뿐"이라고 덧붙였다. 안효건 기자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