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나광호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나광호 기자 입니다.
  • 금융부
  • spero1225@ekn.kr

전체기사

한화에어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 수주…9500억원 규모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차세대발사체(KSLV-Ⅲ) 개발사업의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사로 선정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조달청과 약 9505억원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32년말까지다. 차세대발사체는 대형 위성 발사 및 우주 탐사 등을 위한 것으로 누리호 대비 탑재 용량 및 궤도 투입 성능이 향상될 전망이다. 개발을 마친 뒤 2030년부터 총 3회에 걸쳐 발사가 이뤄질 예정으로, 2032년 달 착륙선 최종 모델 발사가 목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설계에서 최종 발사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수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사명감·책임감을 갖고 항우연과 차세대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개발 과정에서 확보한 기술과 경험을 토대로 우주 수송 서비스 역량을 확보하는 등 뉴스페이스 시대 민간주도 우주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롯데케미칼, 1Q 영업손실 1353억원…전년비 2455.3% 악화

롯데케미칼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861억원·영업손실 135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했으나, 영업손실은 2455.3% 악화됐다. 당기순손실은 604억원으로 같은 기간 적자전환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3.7% 확대됐고, 영업이익은 1805억원 개선됐다. 기초화학은 매출 3조5489억원·영업손실 1304억원을 내는 등 전분기 대비 적자폭을 줄였다. 이는 △모노머 제품 스프레드 개선 △에탄값 안정화 △재고평가손실 감소 등의 영향이다. 롯데케미칼은 계절적 성수기 도래 및 역내 정기보수 시즌 진입으로 공급 부담이 완화되는 것을 들어 회복세를 예상했다. 첨단소재는 매출 1조317억원·영업이익 444억원을 달성했다. 고객사 신모델 출시 등으로 판매량이 늘어난 덕분이다. 향후에는 전방산업 수요 증가가 판매량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롯데정밀화학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994억원·108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린소재 산업용 제품 증설분 판매가 늘어났으나, 염소계 제품 국제가 약세로 매출이 줄었다. 롯데정밀화학은 그린소재 산업용 제품 및 식의약 제품 판매 확대로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417억원·43억원으로 나타났다. 고객사 다변화로 분기 최대 매출과 판매량을 시현하면서 전분기 대비 이익률이 높아졌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북미향 판매량 증가로 매출 성장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이훈기 롯데케미칼 총괄대표는 포트폴리오를 기초화학·첨단소재·정밀화학·전지소재·수소에너지 5개 가업으로 재편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거버넌스 개편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전략사업단위 중심으로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트랜스포메이션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GS칼텍스, 1Q 영업익 4166억원…전년비 36%↑

GS칼텍스는 올 1분기 매출 11조8569억원·영업이익 4166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한 반면, 영업이익은 36% 증가했다. 유가 상승으로 재고관련 손익이 개선된 덕분이다. 정유 부문은 매출 9조3508억원·영업이익 301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1% 축소됐으나, 영업이익은 106% 확대됐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308% 급증했다. 호르무즈해협 봉쇄 우려 등 중동 이슈 및 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OPEC+) 감산이 유가 하락을 방지하고 있는 영향이다. 러시아 휘발유 수출 금지 조치로 휘발유 마진이 상승하면서 복합정제마진이 전분기 대비 높아진 점도 언급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1조9806억원·영업손실 13억원을 내는 등 전년·전분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윤활유 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255억원·116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수익성이 떨어졌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개선됐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GS는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2890억원·영업이익 1조16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7%, 영업이익은 5.8%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4760억원으로 같은 기간 8.7% 줄었다. GS칼텍스가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관련 손익 개선과 견조한 정제마진·윤활유 마진에 힘입어 양호한 성과를 거뒀으나, 전력도매가격(SMP) 하락 등으로 발전 자회사들의 수익성이 축소된 탓이다. GS 관계자는 “중동과 유럽 지역의 지정학적 이슈와 글로벌 경기회복 여부 및 속도가 올해 실적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금호석화, 주력제품 수익성 회복…중국발 훈풍 기대

석유화학 불황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호석유화학이 실적 반등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합성고무 등 주력제품의 수익성 회복이 점쳐지는 까닭이다. 중국의 경기부양책의 수혜도 입을 수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 사업은 올 1분기 매출 5955억원·영업이익 25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12.0%, 영업이익은 64.1% 증가했다. 글로벌 타이어 판매량이 회복된 덕분이다. 미쉐린 기준 올 1~3월 글로벌 RE 타이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 늘어났다. 업체들의 재고 소진도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가격은 지난해 4분기 t당 1634달러에서 올 1분기 1649달러로 소폭 상승했으나, 최근에는 1800달러를 넘어섰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된 것도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용 타이어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차량을 견뎌야 하는 특성상 고기능 합성고무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NB라텍스의 경우 전방 산업 가동률 증가의 영향을 받았다. 빠듯한 천연고무 수급도 합성고무 '몸값'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합성수지와 페놀유도체 부문은 비스페놀A(BPS)를 비롯한 주요 제품 스프레드 개선 및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적자 폭을 줄였다.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도 전방산업 수요 성장에 따른 판매량 증가가 영업이익 확대로 나타났다. 2분기에는 매출 1조7000억원·영업이익 800억원 가량의 실적이 점쳐진다. 부타디엔(BD)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이 강세지만, 합성고무 등 판가도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고부가 제품 확대 확대도 실적 향상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NB라텍스도 수익성 개선 흐름이 포착됐다. 전유진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에폭시 스프레드 회복이 페놀유도체 부문 흑자전환으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이구환신'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언급된다. 이는 노후 차량과 가전 등을 교체할 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국은행연구원은 40조~120조원의 신규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고부가 합성수지(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PU) △SBR을 비롯한 품목의 수요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ABS 마진이 t당 228톤으로 4주 연속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올 2분기 증설이 완료되는 NB라텍스를 필두로 EPDM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DI) 등의 생산력도 늘어난다. 다만 에너지 부문은 정기보수 및 계통한계가격(SMP) 하락에 따른 악영향이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북미·유럽 지역이 타이어 수요 회복을 이끌고 있다"며 “드라이빙 시즌 종료 등으로 원재료값이 하락할 경우 실적 개선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종합상사업계, 신사업 앞세워 실적 개선 모색

상사업계가 신사업 경쟁력을 토대로 실적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물류·트레이딩 사업의 수익성 향상이 어렵기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 7조7605억원·영업이익 2654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6.6%, 영업이익은 5.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3.6% 증가하는 등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멕시코·폴란드 등 글로벌 구동모터코아 생산력을 높이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캐즘 구간에 진입했으나, 차량 전동화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2026년까지 3조6000억원을 들여 액화천연가스(LNG) 밸류체인도 강화한다. 기존 가스전을 증산하고 신규 광구 탐사 및 터미널 증축을 진행한다는 구상이다. GS칼텍스와 팜유 정제공장을 건설하는 등 팜 사업도 고도화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 아드녹과 청정수소 사업도 추진한다.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재 공장 지붕에 2.2MW급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포항 양극재 공장과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에도 태양광 발전 설치를 검토하는 등 그룹의 ESG 경영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LX인터내셔널은 매출 3조7761억원·영업이익 1107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1.5% 축소됐지만 전분기와 비교하면 41% 늘었다. 1330억원을 들여 올해 초 인수한 인도네시아 AKP 니켈 광산이 실적 향상으로 이어졌다. 이 광산은 전기차 700만대 분량의 광물을 채굴 가능한 곳으로 평가된다. 니켈 제련단지 및 항만을 비롯한 인프라가 인접한 것도 강점이다. LX인터내셔널은 생산량 전량에 대한 인수 권한을 갖고 있다. 유재선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팜 사업도 가격 강세로 양호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물산 상사부문은 매출 2906억원·영업이익 850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0.5% 증가했고, 미국 태양광 매각 수익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률은 2.0%에서 2.9%로 높아졌다. 삼성물산은 15.4GW 수준인 태양광 파이프라인을 올해말 20GW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도 태양광 사업과 연계한다. 암모니아 등 수소사업과 배터리 리사이클링을 비롯한 신사업 투자도 단행하고 있다. 현대코퍼레이션은 매출 1조6000억원·영업이익 280억원을 시현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9% 하락한 반면 영업이익은 9.2% 향상되는 등 분기 기준 최대 수준으로 올라섰다. 철강 부문이 북미를 중심으로 수익성을 끌어올린 덕분이다. 상용에너지 부문도 북미 노후변압기 교체와 데이터센터 투자 관련 수요를 토대로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승용부품 부문도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석유화학 부문도 괌 전력청에 HD현대오일뱅크의 초저유황 경유를 3년간 공급한다. 베름과 손잡고 미국 뉴라와 포스트바이오틱스 원료 공급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유산균·치료제·식품·화장품 시장 내 입지도 강화한다는 목표다. 업계 관계자는 “고유가가 자원개발 사업 수익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컨테이너 시황도 반등하는 모습이 포착된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배너